사전 245,603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자적세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줏빛 물을 들인 세주(細紬). 세주는 주(紬)보다 곱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운문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구름무늬가 놓인 자주색의 가벼운 비단 직물. 사(紗)는 생사로 발을 살핏하게 짠 비단으로 얇고 가볍다. 여름철의 어의(御衣) 감으로 운문사(雲紋紗)가 사용되었다. 두 가닥의 날실 중 한가닥은 직선상으로 씨실과 교차하나, 다른 한 가닥의 날실은 규칙적으로 씨실을 얽어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정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주색의 고급 명주 직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연산군과 중종때 정주를 진상하게 하고 대비전에 사급한 기록이 있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줏빛 물을 들인 명주. 꼬임이 없는 중ㆍ하등품의 견사(絹絲)를 사용하여 평직(平織)으로 제직한 자주빛의 평견직물이다. 주(紬)는 조선 시대 가장 보편적인 견직물로 견사의 품질(品質)과 밀도(密度), 생산지(生産地)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였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진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적색의 명주실. 각색 옷감의 바느질용으로 사용되었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태종 17년(1417) 양잠을 장려하면서 전라도, 풍해도[황해도]의 채방판관(採訪判官)이 황진사, 백진사 및 누에고치를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진사(眞絲)는 조선 시대 초기 혹...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토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적색 토주. 토주는 굵은 실로 자아서 짠 명주로 바닥이 두껍고 빛깔이 누르스름하며 색깔에 따라 종류를 구분한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에 따르면 자적토주는 유철릭(襦帖裏), 유호수(襦胡袖), 홑치마[襦赤亇]의 의복과 요(褥)를 만들 때 사용되었...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필단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자적색의 수자직(繻子織, 朱子織) 견직물. 필단은 匹段, 匹緞, 疋段 등으로 표기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향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우리나라에서 짠 자적색 비단. 당직(唐織)과는 달리 향직(鄕織)은 우리나라에서 짠 비단으로 가례 시 왕비의 적의 및 폐슬, 대대, 상(裳)의 끈감(纓子), 수(綬), 적말(赤襪)과 별의(別衣), 내의(內衣), 노의(露衣), 겹장삼(裌長衫), 겹오(裌襖), 겹저고리(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적화화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자를 모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고 그 독법(讀法)‧의미 등을 해설한 책.
    이칭별칭옥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