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고문서 11,544건의 연구성과가 있습니다.

홈 > 연구성과별 자료보기
  • 함평이씨가(咸平李氏家) 사주단자(四柱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혼인날짜를 정하기 위해 신랑측에서 신부측인 함평이씨가에 신랑의 사주단자를 보낸 문서이다. 신랑의 생년월일은 경오년7월 11일 오시생이다.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목포 함평이씨 이명헌
  • 함평이씨가(咸平李氏家) 사주단자(四柱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혼인 날짜를 정하기 위해 신랑측에서 신부측인 함평이씨가에 신랑의 사주단자를 보낸 문서이다. 신랑의 생년월일은 임자년5월 26일 진시생이다.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목포 함평이씨 이명헌
  • 항(恒)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신미년6월 19일에 항이 보낸 답장이다. 죽은 형을 장사 지낼 날짜가 닥쳐와 이 달 25일쯤 옛 집으로 돌아가야 하니 앞으로는 만나서 얘기할 기약이 없어 서글프다고 말한 내용이다.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해남윤씨(海南尹氏) 문중(門中) 치부(置簿)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해남윤씨 문중에서 성산리평, 신평대로평등의 논 97마지기를 759냥에 매입하고, 매입 비용 중 600냥은 녹산면분배조로 제하고, 70냥은 논을 살 때 빌려 쓴 천사한에게 줄 것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해남윤씨(海南尹氏) 문중(門中) 화곡기(禾谷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해남윤씨 문중에서 문중 사람들에게 곡식을 꾸어 주었다가 이자를 붙여서 거둔 것과 소작료를 함께 기록한 낱장의 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추수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해남윤씨(海南尹氏) 윤수임(尹守任) 등 등장(等狀)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해남현 청계면 대운동에 사는 해남윤씨 윤수임, 윤세환등 5명이 비곡면 법곡산아래에 있는 8대조와 5대조 묘역에 누군가 불법으로 몰래 쓴 묘가 있으니 이를 관에서 파내달라고 해남현에 청원한 문서이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해남윤씨가(海南尹氏家) 산도(山圖)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강진현 보암면 신부동에 있는 해남윤씨가 선산의 묘소 위치를 표시한 그림이다. 신부동선산은 윤순일(1836년생) 생전에 그의 5대조인 윤흥수의 묘를 중심으로 조성된 곳이다.
    내용분류사회-지리-지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지도 | 현소장처목포대학교 박물관
  • 해남윤씨가(海南尹氏家) 소지(所志)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강진현 보암면에 사는 윤효관의 후손이 종가만이라도 잡역을 면제받게 해달라고 강진현에 청원한 문서이다. 이에 대해 전에 확인한완문이 있으니 면제한다는 수령의 판결이 내렸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목포대학교 박물관
  • 해남윤씨가(海南尹氏家) 휘일기(諱日記)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선대의 제삿날을 적어 놓은 낱장의 문서로, 작성자를 기준으로 6대조까지와 백종조 등 48명의 항렬과 관직명, 제삿날, 배위의 성씨, 배위의 제삿날을 기록하였다.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기일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기일록 | 현소장처무안 여흥민씨 민종기
  • 현무경(玄武經) 필사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모년에 어떤 사람이 필사한 현무경(玄武經) 12영부(靈符)이다. 현무경은 강일순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전의 하나이다. 이것은 뒤에 대순진리회와 보천교에서 사용되었다.
    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대종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페이지 / 11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