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19,8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가객 / 歌客 [예술·체육/국악]
우리 나라 전통 가악 중 가곡·가사·시조를 잘 부르는 사람, 또는 그 노래들을 부르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이 밖에 노래를 짓는 사람을 가객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조선 영조 시기가 분수령이다. 전대의 작가들은 대개 한시문의 작자이며, 이후부터는 우리의 시가를 짓는
가거도 / 可居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에 있는 섬. 1896년부터는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라 하여 가거도(可居島)라 부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때 소흑산도로 지명이 바뀌었다가, 다시 가거도로 불리고 있다. 본래 지도군 흑산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리·
가결 / 歌訣 [과학/과학기술]
동양산학(東洋算學)에서 수학 공식을 시(詩) 형식으로 만들어 기억하기 쉽게 만든 것. 구결(口訣)이라고도 한다. 다분히 한시의 형식을 답습하였다. 전통 산학에서는 창조적 노력보다는 경전시(經典視)된 산서(算書)를 그대로 기억하는 일이 중요했으므로 가결의 형식을 중요하게
가경전 / 加耕田 [경제·산업]
조선시대 한번도 경작되지 않은 무주한광지(無主閑曠地)를 농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간한 토지. 평지가경전(平地加耕田)과 해택가경전(海澤加耕田)으로 구분되었다.
가경절 / 嘉慶節 [종교·철학/대종교]
음력 8월 15일에 거행하는 대종교의 4대 경절 중의 하나. 이날 대종교의 초대 교조인 홍암대종사 나철이 조천한 것을 기리는 의미에서 선의식과 경하식을 거행한다.
가계 / 加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품계를 올려주는 절차. 동·서반 7품 이하는 사만(仕滿) 450일, 6품 이상은 사만 900일에 가계하도록 규정되었지만, 병전 번차도목조에 오른 것들은 선전관을 제외하고는 정직의 경우와 달리 각기 다른 사만 가계의 규정을 지닌다.
가계 / 家系 [사회/가족]
혈연적 유대의 범위를 결정하는 그 사회의 출계원리(出系原理)에 따라 관념적으로 인지되거나 제도화되어 내려오는 한 집안의 계통체계, 또는 혈연적 분파집단(分派集團). 가계는 선대(先代)의 입장에서는 대를 물린 결과이며, 후손(後孫)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선대를 인지할 수
가고파 [예술·체육/현대음악]
이은상(李殷相) 작사, 김동진(金東振) 작곡의 가곡. 1933년 김동진이 평양의 숭실전문학교 학생시절에 작곡하였다. 노랫말은 내 고향 남쪽 바다, 그 파란 물 눈에 보이네. 꿈엔들 잊으리오, 그 잔잔한 고향바다. 지금도 그 물새들 날으리, 가고파라 가고파…… 4분의 3
가곡 / 歌曲 [예술·체육/국악]
인천광역시에서 지정·보호한 단형시를 관현반주에 맞춰 좌창하는 전통 성악곡.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좌창(앉아서 노래함)하는 전통 성악곡에는 가곡 이외에도 시조·가사·서도좌창 등이 있지만, 가곡은 거문고·가야금·해금·세피리·대금·단소·장구의 각각 단잽이들로 구성된
가곡선 / 歌曲選 [문학/고전시가]
최남선(崔南善)이 찬정(撰定)한 시조집. 내용은 크게 책머리와 본문으로 나뉘어진다. 책머리에는 추인자(秋人子)가 쓴 서(序)가 있고 그 뒤에 일러두기가 있어 이 책의 편찬취지와 참조도서를 살필 수 있다. 이어서 목차가 나오고 다음에 음(音)·조(調)·풍도형용십오조목(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