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 문무 관인 6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문무 관인
  • 유길준 / 兪吉濬 [역사/근대사]

    1856∼1914. 조선 후기의 개화사상가·정치가. 1881년 어윤중의 수행원으로 신사유람단에 참가, 우리나라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 됐다. 《한성순보》 발간의 실무를 맡으나 민씨 세력의 견제로 여의치 않자 주사직을 사임한다. 갑신정변 이후 주모자와 친분관계로 가택 연

  • 윤각 / 尹慤 [역사/조선시대사]

    1665(현종 6)∼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익상이다. 1699년(숙종 25)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비변사낭관·도총부도사·초계군수 등을 역임하고, 전주영장을 거쳐 전라도수군절도사에 이르렀다. 1710년 해구의 발호가 심해지자 대신 이이명의

  • 이도재 / 李道宰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외부대신(1848∼1909). 전라도관찰사 때 동학농민지도자 전봉준을 생포하였다. 학부대신 때 단발령 강행에 반대하였다. 최초 서양의학교육기관인 한성의학교 설치를 인가하였다. 공으로 태극장을 받았으나 이완용의 모함으로 나문정죄 되었다.

  • 이동표 / 李東標 [정치·법제/법제·행정]

    1644(인조 22)∼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아버지는 운익(雲翼)이며, 어머니는 김기후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1677년 증광회시에 장원하였으나 파방되었다가 168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 이명익 / 李溟翼 [정치·법제/법제·행정]

    1617(광해군 9)∼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증조는 충(沖)이고, 할아버지는 일도(逸道)이며, 아버지는 지형(之馨)이다. 1649년(인조 2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검열로 등용되고, 곧 설서가 되었다. 대표적

  • 이방익 / 李邦翼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충장장, 오위장, 전주중군 등을 역임한 무신. 아버지는 탐라도에서 여러 대를 살아오며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장을 지낸 이광빈(李光彬)이다. 1784년(정조 8)에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선전관·충장장(忠壯將)·오위장·전주중군(全州中軍)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

  • 이서구 / 李書九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평안도관찰사, 형조판서,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문인. 아버지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이 된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이다. 계비(繼妣)

  • 이언진 / 李彦瑱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사역원주부를 역임한 역관.시인. 세거지는 서울이며, 대대로 역관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다. 이용휴(李用休)에게 수학하였다. 1759년(영조 35) 역과(譯科)에 합격하여 사역원주부가 되었고, 1763년 통신사 조엄(趙曮)을 수행, 역관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어

  • 이용 / 李溶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온성현감, 경성현감, 첨정 등을 역임한 무신. 무안대군(撫安大君)이방번(李芳蕃)의 후손이다. 일찍이 무과에 급제하여 관북지방에서 33년간이나 돌면서 영흥·북청·경흥·종성·온성·경성 등지의 현감을 지냈고, 중앙으로 올라와서는 첨정을 지내기도 하였다. 1776년(

  • 이윤보 / 李允甫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사관, 사륜 등을 역임한 관리.문신. 단편적으로 전하는 자료를 통해 진화(陳澕)·손득지(孫得之)·이백순(李百順)·이규보(李奎報)·이인로(李仁老)·최자(崔滋) 등과 거의 비슷한 시대에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보한집』에 “이윤보가 처음 과거에 합격하였을 때(李

1 2 3 4 5 6 7
페이지 / 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