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가례언해 / 家禮諺解 [언론·출판/출판]

    1632년(인조 10년) 신식(申湜)이 ≪가례≫를 언해한 책. 10권 4책. 목판본. 언해의 방식을 설명한 범례, 가례도언해, 가례서언해, 본문, 한문으로 된 발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원도 원주에서 관찰사로 있던 신득연(申得淵)이 간행하였다. 신득연은 신식의 아

  • 가례원류 / 家禮源流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유계(兪棨)가 『가례』에 관한 여러 글을 분류, 정리한 책. 14권 8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가례』의 본문을 기본으로 삼고, 삼례(三禮: 周禮·儀禮·禮記)에서 관계되는 사항을 뽑아서 주석으로 삼아 이를 원(源)이라 하

  • 가례원류속록 / 家禮源流續錄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유계(兪棨)가 왕가의 사례(四禮)에 관한 내용을 엮은 책.2권 1책. 간본. 『가례원류』의 편찬 때 제외되었던 것을 따로 모은 것으로 그 보유편이라고 할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가례』는 원래 송나라의 지배층인 사대부들이 관혼상제의 사

  • 가례의해 / 家禮疑解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정대원이 주희의 『가례』에 관한 규정과 변례에 대한 선유들의 학설을 주제별로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예서.주석서. 불분권 1책. 필사본. 표지 제목은 ‘예가의해(禮家疑解)’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1914년에 쓴 권업(權𩑀)의 서문이 있고

  • 가례주설 / 家禮註說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송익필이 명나라 구준의 『주자가례』를 풀이한 예서.주석서. 그의 문집인 『구봉집(龜峰集)』 권7∼9에 수록되어 있다. 『가례주설』은 명나라의 구준(丘濬)이 가례에 관한 주자의 모든 학설을 모아 만든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다시 송익필이 그의 시각과 주관

  • 가례주해 / 家禮註解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덕홍이 주희의 『가례』를 풀이한 예서.주석서. 8권 1책. 목판본. 1829년(순조 29) 후손들에 의해 편집, 『간재속집(艮齋續集)』에 합간하였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본집은 항목이나 제목에 구애됨이 없이 난해한 부분과 착오나기 쉬운

  • 가례증해 / 家禮增解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0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31.1×21.0cm이고, 반곽은 23.1×17.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가례증해(家禮增解)이다. 이의조(李宜朝, 1727~1805)가 저술하였으며, 서문(序文)은 이의조가

  • 가례증해 / 家禮增解 [사회/가족]

    조선후기 학자 이의조가 『가례』를 보충·해설하여 1792년에 간행한 예서.경전해설서. 10책.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책은 이의조가 가학(家學)으로 물려받았던 가례의 학적인 연구성과와 이재(李縡)로부터 전수된 예학의 계통을 바탕으로 하여 이룩한 수준 높은 『가례』의

  • 가례질서 / 家禮疾書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익이 『가례』에 관한 학설들을 종합·분석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해석한 예서. 이 책은 권두에 저자 자신이 1731년(영조 7)에 쓴 자서(自序)가 있는 점으로 보아 그의 생전에 필사(筆寫)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서에서는 이 책의 편찬 동기를 밝히고 있는

  • 가례집고 / 家禮集考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종후(金鍾厚)가 엮은 책. 8권 8책. 규장각 도서. 『가례』를 본문으로 삼고, 삼례(三禮: 儀禮·周禮·禮記)와 그 밖의 경전(經傳), 그리고 유학 및 그 이외의 여러 사상계열의 고전과 역사관계의 저술에서는 물론, 패림소설류(稗林小說類)에서까지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46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