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 전적 1,57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 전적
  • 광재물보 / 廣才物譜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일종의 백과전서. 4권 4책.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정조 22)에 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하

  • 광주천자문 / 光州千字文 [언론·출판/출판]

    1575년(선조 8) 전라도 광주에서 간행된 <천자문>은 한글의 석과 음을 보여주는 최고의 판본. ‘만력 3년(1575년) 광주 간상(萬曆 三年 月日 光州刊上)’이란 간기가 있다. 1권 1책 목판본. 판식은 사주 단변, 유계, 판심은 대흑구 상하내향 흑어미. ‘영수간

  • 광천집 / 廣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조성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1864년(고종 1)경 아들 태규(台奎)와 제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석영(張錫英)의 서문과 권말에 조성혁(趙性赫)·이병주(李秉株)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 광해군일기 / 光海君日記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15대 왕 광해군의 재위 기간 동안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룬 실록. 1608년 2월부터 1623년 3월까지 광해군 재위 15년 2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사실을 다루었다. 187권. 조선왕조실록 가운데 유일하게 중초본(中草本, 太白山本) 64책과

  • 괘편당실기 / 掛鞭堂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이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실기. 3권 1책. 목활자본. 1902년 그의 외손 곽종철(郭鍾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상두(李相斗)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세계(世系) 1편,

  • 괴담유고 / 槐潭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배상열의 시·서(書)·기·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형인 상현(相賢)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으나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1799년(정조 23)에 쓴 조술도(趙述道)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한동(金翰東)이 쓴 지(誌)와 180

  • 괴당문집 / 槐堂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의병 이만승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851년(철종 2)에 처음 간행되고, 그 뒤 1941년 10세손 태식(泰植) 등에 의하여 중간되었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의 중간서(重刊序)가 있고, 권말에 유치명(柳致明

  • 괴수유고 / 怪叟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오면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1969년 오면수의 현손(玄孫) 오종진(吳宗鎭)과 족인(族人) 오철환(吳喆煥)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이 없고, 권말에 오종진의 발문이 있다. 7권 3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

  • 괴암문집 / 槐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강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72년에 증손인 복흠(福欽)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족후손 두희(斗熙)의 서문과 권말에 재종증손 일흠(一欽)과 증손 복흠 등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권

  • 괴암일고 / 乖庵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19년 목판으로 간행되었고, 1939년 그의 9세손인 병제(秉濟) 등에 의하여 편집, 중간되었다. 권두에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권말에 노상직(盧相稷)·최종응(崔鍾應)의 발

페이지 / 157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