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영가 / 靈駕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 때의 행렬을 지칭하는 말. 국장 발인 의식을 거행할 때 국왕의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중심으로 한 전체 행렬 혹은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지칭하여 영가라 부른다. 발인 행렬에는 재궁을 안치하는 대여, 능소에 올라갈 때 쓰는 견여, 혼백함을 안치하는 신연과

  • 영감 / 令監 [역사]

    조선시대 종2품·정3품 당상관의 품계를 가진 관인을 높인 칭호. 영감의 칭호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는 명확하지 않으나, 이 칭호와 대응이 된 국왕의 존칭인 상감(上監)과 정1품·종1품·정2품의 관계를 가진 관원의 존칭인 대감(大監)이 조선 초기부터 사용되었고, 영감과

  • 영국공신 / 寧國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인조 때 심기원사건을 다스리는데 공을 세운 이에게 내린 칭호 또는 칭호를 받은 사람. 역모사건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운 사람으로서 1등은 구인후·김류 등 2인으로 효충분위병기결책영국공신이라 하였고, 2등의 황헌·이원로에게는 효충분위병기영국공신이라 하였다. 영국공

  • 영남가단 / 嶺南歌壇 [문학/고전시가]

    16세기 중엽 이후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시가 활동을 한 집단. 가단은 특정한 시기에 우리말 노래를 창작하고 향유하는 활동을 전개한 집단이다. 영남가단은 16세기 중엽 이후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동일한 신분의 일정한 구성원이 일정한 공간을 바탕으로 시가 활동을 한 집단

  • 영동방언 / 嶺東方言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영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태백산맥 내부에 위치한 영월·정선·평창 지역과 태백산맥 동쪽에 위치한 삼척·강릉·양양·고성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아울러 이른다. 영동방언은 자음 면에서 표준어와 같이 19개의 자음으로 되어 있다. 모음 면에서는 ‘ㅣ, ㅔ, ㅐ,

  • 영사공신 / 寧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인조 때 유효립의 모반사건을 고변한 사람에게 내린 훈호. 1등의 허계에게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을 내리고, 2등의 홍서봉·허계·황진·허선에게 갈충효성익명영사공신을 내렸다. 3등의 김득성·김진성·신서회·최산휘·이두견에게 갈충효성영사공신을 내리는 등 모두 11인이

  • 영서방언 / 嶺西方言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영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태백산맥 서쪽에 위치한 철원·화천·양구·인제·춘천·홍천·횡성·원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아울러 이른다. 영서방언은 모음 면에서는 ‘ㅣ, ㅔ, ㅐ, ㅟ, ㅚ , ㅡ, ㅓ, ㅏ, ㅜ, ㅗ’와 같이 주로 10개의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 영선 / 營繕 [역사/조선시대사]

    관아의 건물이나 교량을 수선하는 일. 영은 모위의 뜻이고 선은 수식한다는 의미 또는 만드는 것을 영창(營創)이라 하고 기우는 것을 선식(繕飾)이라고 한다. 또한 영선(營繕)은 영조와 같은 말로 토목공정을 가리켜 쓰는 말이다. 공조의 속아문 중에서 선공감에서 직장하였다

  • 영웅소설 / 英雄小說 [문학/고전산문]

    주인공의 영웅적 삶을 그린 고전소설. 주인공의 영웅적 삶은 ‘영웅의 일생’이라는 영웅신화에서 추출된 서사유형을 근간 구조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서사유형을 골격으로 한 작품들을 모두 영웅소설의 범주에 포함시켜 다루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웅의 일생’이라는 전기적

  • 영조척 / 營造尺 [과학기술/과학기술]

    목공과 건축에 사용하던 척도. 영조척은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특징 때문에 길이가 변하지 않고 다른 척도 체계의 고증에 중요한 참고가 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영조척 1척이 황종척으로 0.899척에 해당된다고 하였으며, ≪증보문헌비고≫에는 1영조척이 0.899황종

페이지 / 19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