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54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고려 > 고려 전기
  • 고내 / 高內 [지리/인문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의 옛 지명. 제주 서쪽 45리에 있다는 기록이 대부분인데, 『탐라지(耽羅志)』에는 35리로 나와 있다. 신라 때 고후(高厚)를 봉하면서 촌(村)을 두었다가 고려 의종 때 촌을 나누어 현으로 만들었다. 고려 원종 때 삼별초의 난을 평정한 뒤 이웃

  •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 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 [예술·체육/서예]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원종대사 찬유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975년 건립. 비신의 높이 325㎝, 너비 162㎝, 두께 30㎝. 원래는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의 고달사지에 있었던 것으로, 현재 경복궁 안으로 옮겨져 있는데 여러 조각으로 깨어져

  • 고려가요 / 高麗歌謠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창작된 가요의 총칭. 협의의 개념으로는 고려시대의 장르적 특수성을 갖는 특정 가요군을 가리킨다. ‘고려시대의 가요’라는 광의의 의미는 향가계, 민요, 참요, 무가 및 불교가요, 개인 창작가요, 고려말 시조와 가사작품까지 포괄한다.

  • 고려국조신화 / 高麗國祖神話 [문학/구비문학]

    고려를 세운 왕건(王建)의 선조 6대들의 내력과 자취를 다룬 고려의 건국신화. 왕건의 6대조 호경(虎景), 5대조 강충(康忠), 4대조 보육(寶育), 3대조 진의(辰義), 할아버지 작제건(作帝建), 아버지 용건(龍建)을 각기 주인공으로 삼은 여섯 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

  • 고려시 / 高麗詩 [문학/한문학]

    고려 문종 때 송(宋)나라에 사신으로 간 문인들이 지은 시문집(詩文集). 『고려시(高麗詩)』에 대한 기록은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에 보인다. 이에 따르면, 송(宋)나라 마단림(馬端臨, 1254~1323)이 편찬한 『문헌통고(文獻通考)』에 3권이 실

  • 고려오층석탑 / 高麗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었던 고려시대 에 제작된 석조 불탑.석탑. 시도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2015년 7월 해제되었다. 금강공원 부근 개인 정원에 있었다.2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갖춘 전형적인 고려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 고사리 [과학/식물]

    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 학명은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DESV.) UNDERW.이다. 고사리는 전세계에 큰 군락(群落:집단)을 만들어 자생하는 생활력이 왕성한 식물로서, 아시아지역에서는 매우 오래 전부터 식용되어

  • 고선화진 / 古宣化鎭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었던 고려 때의 진. 이 지역은 본래 고구려 땅이었으나 오랫동안 여진족이 점령하고 있었다. 1107년(예종 2)윤관(尹瓘)과 오연총(吳延寵)을 보내어 이 지역의 여진족을 쫓아내고 동쪽으로 화관령(火串嶺), 북쪽으로 궁한령(弓漢嶺), 서쪽으로 몽라골령

  • 고성 건봉사 능파교 / 高城乾鳳寺凌波橋 [예술·체육/건축]

    강원도 고산군 거진읍 건봉사에 있는 조선후기 제19대 숙종 연간에 축조된 무지개 형태의 다리.홍교. 보물. 건봉사는 520년에 창건된 사찰로 처음에는 원각사라 하였다가, 1358년(공민왕 7) 나옹(懶翁)이 중건하고 건봉사라 하였다. 능파교의 명칭은 “속세의 파도를 헤

  • 고시 / 古詩 [문학/고전시가]

    시체(詩體)의 하나. 근체시와 구별하여 고시라 하였다. 부(賦)도 고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시경』에 나타나는 고시 305편은 거의 사언으로 되어 있는데 한대 이후로 장편으로 변하였다. 그리하여 고시를 정체(正體), 한대 이후의 시를 변체(變體)라고 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5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