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 인문지리 1,52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인문지리
  • 관동지 / 關東誌 [지리/인문지리]

    19세기 전반에 강원감영에서 편찬한 강원도 지리지. 『관동지(關東誌)』는 강원감영 영지와 26개 군현의 읍지, 이 읍지를 정리한 총록 등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 강원도의 도별 읍지이다. 편찬 경위와 시기를 정확히 밝혀주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제12책의 「고

  • 관동지방 / 關東地方 [지리/인문지리]

    강원도의 별칭.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0도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오늘의 서울·경기 일원을 관내도(關內道)라고 하였다. 관동이라는 명칭은 관내도의 동쪽에 위치한 땅이라는 데서 명명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관동지방은 태백 산지를 횡단하는 길목인 대관령의

  • 관모온천 / 冠帽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읍(지금의 관모리)에 있는 온천. 지역적인 지열류량은 60∼80mWm-2 정도로서 단일 온천공에서 자연용출된다. 온천수의 화학성분은 규산 63.3ppm으로 광물질 총량은 278.2ppm이며, 기타 KㆍNaㆍHCO3ㆍSO4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 관북영지 / 關北營誌 [지리/인문지리]

    1883년(고종 20)~1907년(융희 1)에 의정부에서 편찬한 함경도 지리지. 『관북영지』은 제1책 『함산지통기』와 제2책 『함경남병영영지』로 구성된 함경도 영지(營誌)로, 제1책 『함산지통기』는 4권과 「함경감영신정사례(咸鏡監營新定事例)」로 이루어졌다. 권1은 부계

  • 관북읍지 / 關北邑誌 [지리/인문지리]

    1894년(고종 31년)에 편찬된 함경도내 각 읍의 읍지를 총괄 수록한 읍지. 7책.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1871년에서 1872년에 걸쳐 만들어진 『북관읍지』와 『관북읍지』, 1895년에 편찬된 『관북읍지』가 규장각 도서에 있다. 1617년(광해군 9) 이

  • 관북지도 / 關北地圖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함경도 전도(全圖)와 부·군·현 지도를 모은 지도집. 채색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함경북도 부분이 빠져 있는 영본(零本: 낙질이 많은 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작연대는 지도집 끝에 첨부한 「서관총람도(西關摠覽圖)」에 초산(楚山)을

  • 관북지방 / 關北地方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와 함경북도를 아우르는 별칭. 문화적 특징으로 낭림산맥이 관북과 관서지방의 구분 경계선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함경도와 평안도의 방언 구분과 관북형·관서형의 가옥 구조 구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낭림산맥 동쪽의 관북 지방은 사회적·문화적 공동체를 형성

  • 관서역지 / 關西驛誌 [지리/인문지리]

    1895년(고종 32)에 평안도의 양대 역(驛)인 대동역(大同驛)과 어천역(魚川驛)의 찰방(察訪: 조선 시대에 각 도의 역참(驛站)일을 맡아 보던 종6품의 문관 벼슬)이 각각 만들어 올린 역지를 합편한 책. 2책. 필사본. 제1책에는 <대동역사례 大同驛事例>·<어천지

  • 관서지도 / 關西地圖 [지리/인문지리]

    연대·작자 미상의 지도. 세로 206㎝, 가로 166㎝의 대형지도이며, 장지(壯紙: 두껍고 단단한 질이 좋은 종이)에 당채(唐彩)로 그린 채색사본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유사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전하며, 유사한 소형 사본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다. 임진·병자 양란

  • 관서지방 / 關西地方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와 평안북도의 별칭. 주요 도시로는 신의주·평양·남포·사리원·송림(松林)·마동(馬洞) 등이 있다. 2009년 기준으로 평안남도에는 6개 시 19개군에 31개 노동자구가 있으며, 평안북도에는 3개 시 22개 군에 31개 노동자구가 설치되어 있고, 자강도에는 3개

페이지 / 153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