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4,27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간양록 / 看羊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강항이 정유재란 당시 일본군에 포로가 되어 겪었던 참상을 기록한 포로기. 1책. 목판본. 원래 저자는 죄인이라는 뜻에서 이를 ‘건거록(巾車錄)’이라 하였는데, 1656년(효종 7) 가을 이 책이 간행될 때, 그의 제자들이 책명을 지금의 것으로 고쳤다. ‘

  • 간옹문집 / 艮翁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헌경의 시·부·상량문·소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승진(李升鎭)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으나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지형(李之珩)의 발문이 있다. 24권 18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 간와만필 / 簡窩漫筆 [종교·철학/유학]

    영정조대 관료로 활동했던 남현로의 문집. 불분권 1책. <규 12124> <간와만필>은 오・칠언률시, 오・칠언절구로 총 300수를 수록하고 있다. 시제의 내용을 보면 대개 응제시, 서울 중심의 명승지에 대한 음영, 고령현감 재직 시의 창수, 금강산잡영제시, 장편과시,

  • 간와집 / 艮窩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장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5년 최장환의 친족 최국환(崔國煥)에 의하여 편집·간행되었다. 권말에 최국환의 발문이 있다. 7권 4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05수, 권2·3에

  • 간우유집 / 艮宇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이인중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아들 이석정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의 서문, 권말에 이능오의 발문, 박종진의 후지가 있다. 권1·2는 시 117수, 권3은 서 26편, 잡저 5편, 권4는 서 3편, 기 2편, 발 4편, 명 3편, 상

  • 간의공유고 / 諫議公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송교명의 시·소·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나 필사연도를 알 수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시 7수, 소 27편, 계(啓) 1편, 기 1편과 부록으로 지문(誌文)과 그의 아들 익수(翼洙)의 유고인 『위헌공유고

  • 간재선생유지 / 艮齋先生遺址 [종교·철학/유학]

    유학자 전우가 말년에 면학, 수도한 곳. 전우는 1841년 전주에서 태어나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여 이이와 송시열의 사상을 신봉하였고, 한일합병에 통분하여 1910년부터 1922년까지 계화도에 들어가 후배양성에 전념하였다. 간재선생유지는 전라북도 부안군 계화면 계화리 8

  • 간재집 / 艮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최규서의 시·소·서계·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5권 7책. 필사본. 서와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와 필사연대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66수, 권2∼4에 소(疏) 75편, 권5∼7에 계 12편, 서계 22편, 의(議) 4편,

  • 간재집 / 艮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최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8년에 간행한 시문집. 12권 6책. 목활자본. 1928년 저자의 후손 형길(亨吉)이 간행하였다. 권두에는 정봉시(鄭鳳時)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은 사(辭) 5편,

  • 간재집 / 艮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덕홍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66년에 간행한 시문집. 본집과 속집은 목판본으로 1666년(현종 7) 이덕홍의 외종손 김만휴(金萬烋)가 간행하였으며, 그 뒤 1754년과 1766년에 중간되었다. 권두에는 이광정(李光庭)과 정언충(鄭彦忠)의 서문이 있고,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42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