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예술·체육 > 건축 총 559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예술·체육 > 건축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傳光州聖居寺址五層石塔 [예술·체육/건축]
광주광역시 남구 성거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5층 석조 불탑.보물. 보물 제109호. 높이 7m. 석탑은 광주공원 안의 빛고을시민문화관 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변은 성거사터로 알려져 있다. 석탑은 거북 머리처럼 튀어나온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단층 받침돌 위에 5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傳)楊平菩提寺址大鏡大師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승려 대경대사 여엄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승탑. 보물. 보물 제351호. 높이 2.7m.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하였던 대경대사 여엄(麗嚴, 862∼930)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傳)原州興法寺址廉居和尙塔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부도. 국보. 국보 제104호. 현재 남아 있는 석조 승탑 중에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을 기본으로 하는 전형적인 승탑이다. 원래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흥법사(興法寺) 터에 있
가구 / 架構 [예술·체육/건축]
목조건축 구조부재의 짜임새 전체를 가리키는 건축용어. 지붕가구를 비롯 벽체가구(壁體架構 또는 軸部)·바닥틀·천장틀까지 포함시켜 말하기도 하며, 좁은 뜻으로는 지붕가구만을 일컫는다. 민가건축에서는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로 쓰인다. 즉, 기둥이나 공포(栱包) 위에 얹혀 내부
가구식기단 / 架構式基壇 [예술·체육/건축]
지대석, 탱주석, 우주석, 면석, 갑석으로 구성된 기단. 기단은 건물 하단에 위치하는 높은 대를 말하는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습기가 건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통풍과 채광 등을 유도하여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은 만드는 재료의
가배량성 / 加背梁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충무공 이순신 장군 관련 성곽.성곽터. 시도기념물. 경상남도 기념물 제110호. 성의 전체면적 4,920㎡, 둘레 1,495m. 성은 가배리마을 가운데에서 거제만(巨濟灣)을 향하고 있는데 성곽의 외부는 성축(城軸)에 접하여 쌓았다
가사제한 / 家舍制限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의 주택법규로, 가옥의 전체규모와 건물의 종류 및 구조부재의 크기, 장식과 색채 등 세부치장에 이르기까지 신분에 따라 허용범위를 제한하는 건축규제. 조선은 개국과 함께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한정된 규모의 도성내에 무분별한 건축행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1395년(태
가산 / 假山 [예술·체육/건축]
인위적으로 산의 모습을 만들어 정원의 일부를 구성하게 한 조원술. 궁궐이나 도성 안에 큰 연못이나 하천을 조성할 때 파낸 흙을 처리하기 위하여 쌓은 산이지만, 땅의 기운이 허한 곳에 지기(地氣)를 보태려고 쌓은 산을 가리키기도 한다. 풍수지리적 측면에서 가산을 만든 경
가야산성 / 伽倻山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伽倻山)에 있는 삼국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대가야의 성곽.산성. 가야산성은 가야산의 정상인 해발 1,433m의 칠불봉 동남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계곡(또는 백운리계곡)을 중심으로 좌우의 항아덤과 동성봉 능선을 따라 축성된 포곡식산성이다
가은암산성 / 加隱巖山城 [예술·체육/건축]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에 있는 삼국시대 입보용으로 축성된 성곽.산성. 둘레 3,018척. 현재 문지(門址)·수구(水口)·건물지와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 단양군과 제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남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북쪽 강언덕의 험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