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총 382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역사 > 선사시대사
가락식토기 / 可樂式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형식에 붙여진 이름이다. 1963년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돼 출토유물은 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가지무늬토기 / ─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의 형식. 어깨부분에 흑색 가지무늬가 있는 항아리형 토기로, 크기는 대체로 높이 20㎝, 너비 20㎝ 내외이다. 돌알갱이가 섞이지 않은 고운 바탕흙을 사용했고, 표면이 곱게 손질되어 있으며 색조는 대부분 밝은 갈색을 띠고 있다. 흑색 가지무늬는 토
가지방울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주술적(呪術的)인 의기(儀器). 전자에는 또 곧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려 있는 아령형태의 봉상쌍두령(棒狀雙頭鈴)과 둥글게 휘어 뻗은 자루 양끝에 방울이 달린 환상쌍두령(環狀雙頭鈴)의 두 종류가 있다. 이 밖에 같은 유적에서 세트로 발견되는 청동방울로 방사상
가평마장리유적 / 加平馬場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가평군 가평면 상마장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집터[住居址]유적. 북한강 지류인 가평천변 강반대지 일대 약 300∼400㎡에 펼쳐져 있는 대규모 취락지로서, 가평읍에서 약 8㎞ 떨어져 있다. 이 유적은 6·25 한국전쟁 때 미군 소령 매코드(MacCord, H.A
가평이곡리집터 / 加平梨谷里집터 [역사/선사시대사]
경기도 가평군 북면 이곡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움집터 유적. 유적의 토층은 모두 6개의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 최상층인 제1층은 두께 30㎝의 경작토, 제2층은 두께 50㎝의 검은 모래층인 움집터층, 제3층은 두께 30㎝의 노란색 모래층, 제4층은 두께 30㎝의 진흙성
각목돌대문토기 / 刻目突帶文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덧붙인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 한반도 남부 지방 청동기시대 덧띠무늬 토기는 하남 미사리, 제천 황석리, 금산 수당리, 익산 영등동, 김천 송죽리, 경주 충효동, 순창 원촌, 진주 대평리 옥방5지구와 상촌리D지구, 어은1지구, 사천 본촌리, 제주
간돌도끼 [역사/선사시대사]
돌을 갈아서 만든 신석기시대의 도끼. 인류역사상 도끼는 뗀돌도끼(타제석부)에서 간돌도끼(마제석부), 청동도끼(靑銅斧)를 거쳐 철도끼(鐵斧)로 발전하고 있다. 선사문화에 있어서 신석기시대라는 개념은 간석기의 출현을 기준으로 설정되었고, 간돌도끼는 이 시대의 가장 대표적
간두령 / 竿頭鈴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말기∼초기 철기시대에 제사장이나 지배자가 사용했던 무구(巫具). 이 시대의 제사장이나 지배자들은 자신의 정치·사회·종교적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손에 들거나 짚었던 지팡이나 막대끝에 방울 모양의 장식을 끼워 사용하였다. 간두령은 가늘고 긴 장대의 머리에
간석기 / ─石器 [역사/선사시대사]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마제석기(磨製石器)’라고도 한다. 간석기의 종류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점성(粘性)이 강한 석재를 골라 격지[剝片] 또는 몸돌[石核]을 쓰고자 하는 용도에 맞게 대략 정형(整形)한 뒤,
갈판 [역사/선사시대사]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곡물이나 야생열매를 부수어서 가는 데 사용하던 석기. 밑에 놓인 갈판은 갈판 위에서 음식을 가는 데 사용하는 갈돌과 한 짝을 이루어 쓰인다. 갈판은 사용으로 인하여 중앙부분이 옴폭하게 패어 자른 면이 말 안장모양을 하고 있다. 이 석기의 평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