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경제·산업 > 산업 총 40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경제·산업 > 산업
가락바퀴 [경제·산업/산업]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원시적인 방적구(紡績具). 짧은 섬유의 경우는 섬유를 길게 이으며 뒤 꼬임을 주어 실을 만들고, 긴 섬유의 경우는 꼬임만을 주어 실을 만드는 방적구의 가장 원시적인 형태이다. 골제·토제·석제·도자제 등으로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가래 [경제·산업/산업]
흙을 뜨고 파는 데 쓰이는 연장. 『훈민정음해례』에는 ‘래[鍬]’로, 『천일록 千一錄』에서는 ‘가내(可乃)’로, 『해동농서 海東農書』에는 ‘험(杴)’으로 표기되었다. 끝에 쇠날이 달려 있어 ‘가래’, 넓적하다 하여 ‘넙가래’라고도 하였다. 생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
가리 [경제·산업/산업]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데 쓰는 어구. 길이 60㎝의 대쪽을 위는 지름 20㎝ 정도로 좁게, 아래는 지름 35㎝ 정도로 넓게 벌려서 둥글게 엮어 만든다. 서너 군데에 띠를 둘러 고정시켰으며, 위쪽에는 손에 쥐기 편하도록 짚을 둘러놓았다. 봄철 논에 모를 심으려고 방죽의
가방 / bag [경제·산업/산업]
가죽이나 헝겊·비닐 등으로 만들어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용구. 모양은 여러 가지이나 일반적으로 상자형이나 자루형이고, 크기는 20㎝×10㎝ 정도의 작은 것에서부터 100㎝×60㎝ 정도의 큰 것이 있다. 여닫이는 위에서부터 넣도록 된 것과 뚜껑이 있
가야고령토광산 / 伽倻高嶺土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과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천리에 있는 광산. 주요 매장지역은 야로면과 가야면에 걸쳐 있다. 이 광산은 야천리의 점골·구원동·터서리 등에서 도요지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지금으로부터 400∼500년 전부터 개발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민족항일기
가정양계신편전 / 家庭養鷄新編(全) [경제·산업/산업]
신규식(申圭植)이 역술한 양계지도서. 1권 1책. 인쇄본. 1908년 황형수(黃瀅秀)가 편집간행한 국한문혼용체이다. 가정에서의 양계의 필요성, 계사(鷄舍)의 구조, 닭의 종류와 선택법, 사료, 관리, 짝짓기, 번식법, 병아리 키우는 법, 닭의 병과 치료방법, 양계 연
가축품평회 / 家畜品評會 [경제·산업/산업]
우수한 체형의 가축을 선발하여 시상함으로서 농가의 가축사육의욕을 높이고 가축의 질을 개량하기 위한 사업. 1915년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라는 이름으로 한우품평회를 개최한 기록이 『조선농회보』에 기록되어 있으며, 1921년 9월에전라남도 곡성에서 제1회 곡성군
각도각군소재목장둔토총목 / 各道各郡所在牧場屯土總目 [경제·산업/산업]
1899년 내장원(內藏院)에서 전국의 목장과 둔토 등 공토(公土) 전체를 수록한 목록. 1권 1책. 220면. 필사본. 도별·군별 공토를 용도별 명칭에 따라 기록하고 혹은 소재지의 지명을 따서 기록하였는데, 대부분 면적표시가 없거나 곳에 따라 두락(斗落:마지기)으로 표
간척 / 干拓 [경제·산업/산업]
개량하여 농업용지·공업용지 및 주택용지 등을 만드는 일. 간척은 공사의 성격과 토지에 대한 조수(潮水)의 유무에 따라 무감조지간척(無感潮地干拓)과 감조지간척(感潮地干拓)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감조지간척은 호수와 늪 또는 하천연안의 낮은 지대로서 바닷물의 영향이 없는
감야관 / 監冶官 [경제·산업/산업]
조선 전기 공철을 채납하던 철장도회의 임시 감독관. 각 도의 관찰사는 철장도회의 작업을 감독하기 위하여 철장 소재읍과 인근 읍에 거주하는 유직자 중 청렴하고 근면한 자를 뽑아 감야관을 삼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철장도회의 작업사정에 밝은 자들이거나 수령과 결탁한 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