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가잡복고 / 居家雜服考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생활/의생활
· 유형 : 문헌/단행본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1841년(헌종 7)에 실학자 박규수(朴珪壽)가 쓴 복식연구서. 3권 2책. 필사본. 현존 필사본에는 저자의 서문 외에 저자의 동생 주수(珠壽)가 교감하였다는 것이 있다. 권1은 외복(外服), 권2는 내복(內服), 권3은 유복동자복(幼服童子服)으로 되어 있고, 각 권의 서두에 각각 외복도·내복도·유복동자복도가 그려져 있다. 외복편은 남성의 복식제도를 논한 것으로 현관(玄冠)·중의(中衣)·현의(玄衣)·혁대·홀(笏)·좌우패용(左右佩用) 등을 다루었고, 내복편은 부녀자의 복식제도를 논한 것이며, 유복동자복편은 동자복과 여자복, 동자와 여자의 상복(常服)을 논의하고 있다.

· 관련자료 (3건)

· 관련논저 (1건)

「조선조후기여성복식(朝鮮朝後期女性服飾)과 개량논의(改良論議)-박규수(朴珪壽)의 내복편(內服篇)을 중심으로-」 / 조효순 / 『복식』4

· 관련주제어 (5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