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청음 / 全淸音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유형 : 개념용어/개념 용어(일반)
· 시대 : 현대/현 대
중국의 등운학(等韻學)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무성무기장애음(voiceless unaspirated obstruent)을 가리키는 말. 중국 등운학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청(全淸)은『운경(韻鏡)』의 36자모(字母) 중에 幫[p]·非[f]·端[t]·知[ʈ]·見[k]·精[ts]·心[s]·照[tʂ]·審[ʂ]·曉[x]·影[ʔ]을 포함하며, 이들은 모두 후기 중고중국어의 무성무기장애음에 해당한다. 그러나『훈민정음』에서는 한국어의 예삿소리를 기술하는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446년 훈민정음 반포 후 한국어 자음의 예삿소리(무성 무기 장애음)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으며,『훈민정음』해례 제자해에서는 ㄱ·ㄷ·ㅂ·ㅅ·ㅈ·ᇹ을 전청자로 정의하였다. 이것은 중국 등운학의 용어를 대체로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 가지 다른 점으로서『훈민정음』의 자모 ‘ㅎ’에 대응하는 등운도의 자모 효(曉)는 전청으로 분류되는 데 비해,『훈민정음』에서는 차청으로 분류되는 점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성문 마찰음 [h]이 유기음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한국어의 상황을 고려한 결과로 생각된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논저 (3건)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 강신항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韻鏡通釋』 / 陳廣忠 / 上海辭書出版社
『古漢語知識詳解辭典』 / 馬文熙·張歸璧 外 / 中華書局

· 관련주제어 (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