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복 / 舞服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생활/의생활
· 유형 : 의복/의복
· 시대 : 고대/삼국시대
춤을 출 때 입는 옷. 춤은 사람의 감정이나 의지를 몸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행위이다. 그러므로 춤을 출 때 입는 의복도 춤이 내포하고 있는 감정이나 의미에 어울리게 구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춤은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시대나 지역에 따라 그 표현방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복식도 차이가 있었다. 각 시대에 따른 우리 나라의 무용과 무용복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 시대의 무용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찾아볼 수 없지만, 한반도에 민족이 형성되면서부터 있어왔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때의 무용은 독립된 것이라기보다는 원시적인 종교의식에 따르는 형태였을 것이며, 무용복도 평상복에 부분적인 특수장식을 한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머리에 새털을 꽂아 높은 곳을 상징한다거나 목걸이·귀걸이·팔찌 등에도 의미가 담긴 재료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밖에 한(漢)나라와의 교류가 시작되면서부터는 한족계통의 무용복이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논저 (4건)

『삼국사기』
『악학궤범(樂學軌範)』
『한국전통무용연구』 / 장사훈 / 일지사
『한국음악론집』 / 이혜구 / 세광음악출판사

· 관련주제어 (2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