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 簡儀

검색결과 / 전체   이전화면
·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천문관측기구. 원나라의 곽수경(郭守敬)이 혼천의의 결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1276년 설계, 제작하여 1279년에 완성하였다. 이 무렵 원나라는 이슬람 천문학과 교류가 활발하여 이슬람지역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던 토키텀(Torquetum)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또는 혼의)는 적도경위의(赤道經緯儀)와 지평경위의(地平經緯儀)로 되어 관측자의 눈을 가려 관찰할 수 없었으나, 간의는 지평경위의에 해당하는 부분을 없애고 적도좌표계에 의하여 직접 읽을 수 있다는 뜻에서 간의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곽수경의 간의는 종전의 천문기구에 비하여 그 크기가 매우 크고 정밀하다. 그 구조는 기능적이고 실용적이어서 육안 관측기구이기는 하나 근대적인 천문대의 기본적인 기능을 갖춘 중요한 천문관측기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432년(세종 14)에 이천(李蕆)과 장영실(蔣英實)에게 목제로 간의를 만들게 하여 실험에 성공하자 이를 구리로 주조하게 하였다. 이는 세종 때의 천문기구 정비 가운데 가장 뛰어난 업적의 하나이다.

· 관련자료 (5건)

· 관련논저 (3건)

『세종실록(世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中國天文學史』 / 中國天文學史整理小組 編

· 관련주제어 (3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