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홍경사 / 弘慶寺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 『옥봉집(玉峰集)』·『국조시산(國朝詩刪)』 권1 등에 전하며, 『학산초담(鶴山樵談)』·『소화시평(小華詩評)』 등에도 전편이 소개되어 있다. 홍경사를 지나며, 그 회고적 감회를 읊은 시이다. 1구에서는 가을 풀 우거진

  • 홍계영 / 洪啓英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관수재유고』, 「희설」 등을 저술한 문인. 아버지는 우채(禹采)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이다. 어린 시절부터 자질이 특출하여 8세 때 지은 「연적명 硯滴銘」은 널리 알려졌다. 문중에서 천리지구(千里之駒)주 01)를 얻었다고 기대하는 바가 컸으나 19세에

  • 홍계유 / 洪啓裕 [종교·철학/유학]

    1695년(숙종 21)∼1742년(영조 18).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홍처심, 조부는 홍수항, 부친은 홍우이, 모친은 이팽령의 딸이다. 처부는 이횡이다. 1732년(영조 8) 성균관 제술시험에서 수석, 1733년(영조 9)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수찬으로

  • 홍계적 / 洪啓迪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처후 증손, 할아버지는 수환, 아버지는 우석, 어머니는 이중린의 딸이다. 170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고, 대사헌, 강화유수, 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수허재유고≫가 있다.

  • 홍계희 / 洪啓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71). 이재 문인, 1748년 통신상사로 일본에 다녀 온 뒤, 비변사당상·충청도관찰사 등을 거쳐, 병조판서로 균역법 제정을 주관했다. 이후 이조·형조·병조·호조·예조의 판서 및 예문관대제학 등을 지냈다. 글씨에도 능하했고, 저서로는《삼

  • 홍국영 / 洪國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8∼1781). 영조 말년 벽파의 횡포 속에서 세손(뒤의 정조)을 보호하여, 정조 때 도승지·대제학·이조참판·대사헌 등을 지냈다. 정조의 총애와 두터운 신임, 누이동생 원빈에 힘입어 세도정권을 누리다가, 왕비 효의왕후를 독살하려다 발각되어, 집

  • 홍귀달 / 洪貴達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504(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 순의 증손, 할아버지는 득우, 아버지는 효손, 어머니는 노집의 딸이다. 1460년(세조 7)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464년 겸예문에 등용, 예문관봉교, 1466년 설서가 되고 선전관을 겸하였다. 중

  • 홍길주 / 洪吉周 [종교·철학/유학]

    1786년(정조 10)∼1841년(헌종 7). 조선 정조 때의 문장가이자 경학자이다. 부는 홍인모이다. 형은 대제학을 지낸 홍석주, 동생은 정조의 사위인 홍현주이다. 30대에 벼슬의 뜻을 버리고 초야에 묻혀 저술 활동에 매진했다.《삼국지연의》를 읽는 법이나 대인관계에

  • 홍낙인 / 洪樂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문신(1729∼1777). 영의정 홍봉한의 아들이다. 1761년(영조 37) 정시문과 병과급제 후 좌부승지·대사성·전라도관찰사·대사헌·도승지·지돈령부사·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정조의 외삼촌이다.

  • 홍담 / 洪曇 [종교·철학/유학]

    1509(중종 4)∼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귀해 증손,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언광, 어머니는 양윤의 딸이다. 영의정 언필 조카이다. 15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자·저작·설서·정언을 거쳐, 1546년(명종 1) 예조와 이조의 정랑, 154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