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백원서원 / 百源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었던 서원. 1597년(선조 30)에 이종학(李鍾學)·김덕숭(金德崇)·이여(李畲)·이부(李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현종 10)에 ‘백원(百源)’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 백월비 / 白月碑 [언론·출판]

    최인연찬. 김생서. 석단목 집자. 탁본. 백월비는 최인연이 지은 비문을, 석단목이 김생의 행서에서 집자하고, 숭태, 수규, 청직, 혜초 등의 여러 승려들이 글자를 새겨서 세운 비석이다. 신라말의 고승인 낭공대사의 행적의 일생행적을 적은 "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의 앞면을

  • 백은집 / 白隱集 [종교·철학/유학]

    이진만의 문집. 목활자본, 서:이만인(1893), 후지:이윤범(1893), 5권2책. 권수에는 이만인이 1년에 쓴 서문. 권1에는 모두 88수의 시. 권2에는 18편의 만사, 소 1편과 서 1편, 권3에는 11편의 서와 3편의 기문을 비롯하여 발 1편.잠 1편.상량문

  • 백의민족 / 白衣民族 [사회/사회구조]

    흰옷을 입고 흰색을 숭상한 오랜 전통에서 유래한 우리 민족의 별칭. 19세기에 한국을 다녀간 많은 외국인들은 한국인이 남녀를 막론하고 다 흰옷을 입고 있다는 데 강한 인상을 받았다. 오페르트(Oppert,E.J.)는 그의 『조선기행 Ein Verschlossenes L

  • 백인걸 / 白仁傑 [종교·철학/유학]

    1497(연산군 3)∼1579(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효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사수, 아버지는 익견. 어머니는 우종은의 딸이다. 조광조 문인으로 김안국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유희춘·이이·성혼 당대 사림계 인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예문관검열

  • 백일 / 百日 [생활]

    출생한 날로부터 백일째 되는 날로 통과의례 중의 하나. 이날 아기를 위하여 백일잔치를 베푼다. 백일잔치는 아기의 무사함을 축복하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아기의 성장에 방해가 되는 재액을 막는 행위가 주목적이다. 백일날 아침에 삼신상을 차리고 흰밥과 미역국을 드리고 빈 다

  • 백일도 / 白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27명(남 150명, 여 17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54세대이다. 취락의 분포는 남쪽의 내백마을과 북쪽의 외백마을에 집중되어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5㎢, 밭 0.58㎢, 임

  • 백일도 / 白日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당인리에 있는 섬. 약 250년 전 해남군 문내면에서 신안주씨(新安朱氏)가 들어와 살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96명(남 50명, 여 46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5세대이다. 취락은 동쪽 해안의 산록부 두 곳에

  • 백일홍 / 百日紅 [과학/식물]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60∼90㎝이고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고 긴 난형이다. 또,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줄기 끝 두상화서에 달리며 6∼10월에 걸쳐 계속 핀다. 꽃은 본래 자주색 또는 포도색이었으나 원예

  • 백일홍설화 / 百日紅說話 [문학/구비문학]

    처녀의 넋이 백일홍꽃으로 피어났다는 내용의 설화. 식물 유래담의 하나로,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이 설화는 두 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하나는 인신공희(人身供犧) 및 영웅의 괴물 퇴치 모티프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벼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