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백양화 / 白羊花 [과학/식물]
수선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전라남도 백양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기에 백양화라고 불러왔다. 상사화와 비슷하지만 식물체가 나약하고 꽃이 보다 아름답다.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일본학자들은 일본산 상사화의 한 변종으로 취급하기도 하지만 앞으로
백연서원 / 栢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에 있었던 서원. 1670년(현종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치원(崔致遠)과 김종직(金宗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서원철폐로 훼
백운대 / 白雲臺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최고봉. 높이 836m. 인수봉(仁壽峰, 810.5m)·노적봉(露積峰, 716m) 등과 함께 북한산의 고봉을 이룬다. 이 일대는 추가령지구대의 서남단에 해당되는 곳으로, 중생대 쥐라기(Jura紀) 말에 있
백운란 / 白雲蘭 [과학/식물]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백운산과 내장산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며 뿌리와 줄기가 옆으로 자라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2∼4개가 어긋나고 둥근 난형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길이 3∼7㎜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다. 잎자루는 3∼
백운사명청동은입사향완 / 白雲寺銘靑銅銀入絲香垸 [예술·체육/공예]
고려시대의 향완. 높이 27.8cm. 일본 나라현(奈良縣) 장곡사(長谷寺)에 소장되어 있던 것으로, 현재는 나라(奈良)국립박물관에 기탁, 보관되어 있다.고배형(高杯形)의 일반적인 고려시대 은입사향완과 마찬가지로 노신(爐身)과 대부(臺部)를 2분하여 주조하였는데, 대부
백운사범종 / 白雲寺梵鐘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백운사에 있는 동종. 총고 85㎝, 종구경 65㎝.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 이 동종의 형태와 양식은 원대(元代)의 동종을 연상케 하는 형식을 갖고 있으나, 전체적인 형태로 보아 중국의 철제종을 모방한 형식이다. 조선 후기에 중국종을 모방하여
백운산 / 白雲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26m. 동남쪽의 함백산(咸白山, 1,573m)을 비롯하여 서북쪽의 두위봉(斗圍峰, 1,466m), 북동쪽의 대덕산(大德山, 1,307m)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고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9
백운산 / 白雲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03m. 지리산국립공원 북쪽에 위치해 있어 동남쪽으로 창암산(窓巖山, 923m), 지리산 천왕봉(天王峰, 1,915m)과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가 되는 능선을 따라 삼정산
백운소설 / 白雲小說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 작자 미상의 문인이 『동국이상국집』에서 시와 관련된 기사(記事)를 뽑아서 엮은 시화집(詩話集). 조선 중기의 한 문인이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 시평, 시화, 시론을 발췌(拔萃)하고 거기에 몇 가지 다른 기사를 포
백운자시고 / 白雲子詩稿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권상원(權商遠)의 시집. 불분권 1책. 목판본. 이 책은 그가 죽은 지 약 100년 뒤인 1750년(영조 26) 권사협(權思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권사협의 후지(後識)가 있다. 시 200여수와 부록으로 「백운자전」과 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