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백악폭포 / 白岳瀑布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원평면(지금의 영광군 천불산리)에 있는 폭포. 높이 34m, 폭 5m. 천불산(千佛山,1,455m)의 높고 험한 산 사이에는 이 산에서 발원한 물이 모여 폭포를 이룬다. 폭포수는 폭포벽을 따라 떨어지다가 약간의 경사진 벼랑에 떨어진다. 이 폭포는 특이한

  • 백암리부채붓꽃군락 / 白岩里─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부전군 백암리에서 자라는 부채붓꽃 군락지. 북한 천연기념물 제300호. 부전령을 넘어 함지원역으로 가기전 철길 왼쪽에 퍼져있다. 북쪽에 함지원역과 백암농장이 있고 서남쪽에 낮은 산이 있는 곳에 10㏊ 정도 퍼져 있다. 부채붓꽃이 자라는 곳은

  • 백암산 / 白巖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과 강계군 화경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823m. 북쪽의 천불봉(天佛峰, 1,636m), 서쪽의 숭적산(崇積山, 1,994m)과 더불어 하나의 산괴(山塊)를 형성하고, 고암산(姑巖山, 1,763)·대암산(大巖山, 1,566m) 등과 연결되어

  • 백암성 / 白巖城 [지리/인문지리]

    중국 요령성 요하(遼河)유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당태종이 고구려를 침입했을 때 안시성(安市城)전투와 관련이 있는 지명이다. 지리적으로 요하(遼河)유역에 위치하여 고구려와 당나라의 국경지대에 있었던 성이었다. 고구려의 양원왕이 백암성을 개축하였다는 기록이

  • 백암온천 / 白巖溫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에 있는 온천. 온천 용출 지역의 범위는 울진군 온정면 온정리의 울진군 소유 10호공을 중심으로 반경 2㎞에 이르고 있다. 온천공은 10여 개가 이용되고 있으며, 온천공의 깊이는 개발 초기의 90m 정도에서 현재는 200m에 이르고 있다.

  • 백암좀골담초군락 / 白岩─群落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백암군 상담리에 있는 좀골담초군락. 북한 천연기념물 제363호. 좀골담초군락은 백암군 상담리 남쪽에 있는 상단역에서부터 다리를 건너서 북쪽의 산기슭에 퍼져있다. 분포 면적은 약 1㏊이다. 서쪽으로는 서두수가 흐르고 주변에는 소나무과의 잎갈나무(

  • 백야기문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조석주(趙奭周)가 조야(朝野)에서 보고 들은 것을 적은 명인 일화집. 1권. 필사본. 매 면 10행씩인데, 매 단락 첫 행은 계속되는 행들보다 한 자를 내어 써 20자로 되어 있다. 책 이름은 저자의 호인 백야(白野)에서 취한 것으로 야사총서인 『패

  • 백야도 / 白也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398명(남 193명, 여 205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88세대이다. 취락은 백야리·와달리·신기촌에 집중되어 있고, 중심지는 화정면의 면소재지인 백야리이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19㎢

  • 백양사사천왕문 / 白羊寺四天王門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한말 대웅전 증축과 함께 중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사천왕문은 일주문과 불이문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백양사 사천왕문은 정면 가운데 칸은 사찰의 통문 역할을 하고 좌우 협칸

  • 백양산 / 白羊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722m. 백양삼봉인 백학봉(白鶴峰, 722m)ㆍ가인봉(加仁峰, 677m)ㆍ옥녀봉(玉女峰, 470m)이 북쪽ㆍ서쪽ㆍ남쪽을 에워싸고 있는 말굽형을 이루며, 천진암(天眞庵)의 계곡이 남동쪽으로 열려 있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