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총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성서조선 / 聖書朝鮮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김교신, 함석헌,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였
성진무 / 性眞舞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성진무(性眞舞)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에 대한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에서 성진무를 롱선이 혼자 추었고, 1917년 11월 한남권번 연주회의 광고 중에 성진무를 개량하여 구운몽연의(九雲夢演義
성흥광산 / 成興鑛山 [경제·산업/산업]
평안남도 성천군 숭인면 창인리에 있는 금 광산. 대동강의 지류인 남강으로 흘러드는 귀인천(歸仁川)의 중류에 회창이라는 큰 취락이 있는데, 이 곳에서 동쪽으로 2㎞ 가량 계곡을 따라가면 해집동의 남쪽 하안에 있다. 북쪽의 689m, 남쪽의 652m 산 사이의 급경사를 이
세광 / 世光 [언론·출판/언론·방송]
1920년 1월 15일에 창간되어 국한문혼용 1단으로 종서 편집된 잡지. 남감리교회 소속 내한 선교사인 도마련(都瑪蓮; M. B. Stokes)이 1918년부터 1922년까지 춘천 주재 지방선교 사업으로 파송받아 문서선교 사업을 위해 잡지사를 차리고 첫 호를 펴낸 것
셋방 / ─房 [사회/사회구조]
세를 내고 빌려 쓰는 방. 주택 공급이 부족하거나 주택을 마련할 능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한 주택의 일부를 빌려 쓰는 제도이다. 통상 총 가구 수보다 총 주택 수가 크게 부족한 도시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빈 땅이 많고 주택건축이 용이한 농촌의 현상은 아니다. 현재는 주
션영문법 / 鮮英文法 [언어/언어/문자]
1914년 언더우드가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간행한 책. 1914년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가 조선어와 영어를 비교 검토하여 1890년 저술한 『한영문법(韓英文法)』에 한국어의 음성적 특징을 보완해 일본의 출판사(Kelly & Wals
소경자탄가 [문학/고전시가]
1931년박제원(朴齊元)이 지은 천주가사. 총 156구로 4·4조의 연속체이다. 당시 박제원은 이미 소경이 되어 있었고, 병을 앓고 있어서 필기를 할 수 없었다. 벽에 기대어 구술한 것을 제자 김익배와 강한태가 받아썼다. 붓글씨로 쓴 필사본과 화산 천주교회에서 195
소극장운동 / 小劇場運動 [예술·체육/연극]
소극장을 중심으로 반기성(反旣成), 반상업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연극운동. 우리나라에서 이 운동은 1931년에 서울에서 조직된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의 신극운동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1960년대 중반까지는 이 연극운동이 간헐적이었다. 그러다가 1969년에
소수서원등록 / 紹修書院謄錄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가류(儒家類) 조선사편수회 편, 영인본, 신연활자본, 조선총독부, 1937, 불분권 1책(목차 2장, 원본영인본 23장, 신연활자본 17장, 해설 7장, 합 42장). 1547년 백운동서원입의(白雲洞書院立議)부터 1669년까지의 잡물분정행이문서(雜物分
소천소지 / 笑天笑地 [문학/구비문학]
1918년 신문관에서 발행한 소담집(笑譚集). 이 책은 1912년 신문관에서 발간한 『개권희희(開卷嬉嬉)·절도백화(絶倒百話)』 합집에 수록된 소담 총 200편을 순서를 달리하여 재수록하고 그 밖에 20여 편의 소담을 추가한 것이다. 이 책에는 내용 목록이 따로 없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