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백사봉 / 白沙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운흥면과 함경북도 무산군 삼사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99m. 백두산에서 남남동 방향으로 달리는 마천령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혜산읍에서 동쪽으로 50㎞ 정도 떨어져 있다. 이 산의 주변에는 북동쪽의 황봉(黃峯, 2,047m), 남동쪽의 석개령(石開
백사봉 / 白沙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회령군 창두면과 부령군 관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39m. 함경산맥의 동북쪽 끝머리에 해당되는 산지이며, 이 산지의 동북쪽에는 보로지봉(保老地峰, 819m), 북쪽에는 악대봉(岳大峰), 남쪽에는 어명산(御明山)·어석산(於石山)·돈수덕산(敦水德山) 등으
백사집 / 白沙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정치가 이항복 시문집. 30권 15책. 목판본. 권1∼4는 시·가영·만, 권5∼8은 차, 권9∼12는 계, 권13·14는 의, 권15는 잠·명·서·기·발, 권16은 잡저, 권17은 신도비명, 권18∼20은 묘갈명, 권21은 행장·유사·제문, 권22는
백산 / 白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희천군 동창면과 강계군 화경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875m. 평안북도의 중앙부를 동서방향으로 달리고 있는 적유령산맥의 주봉으로, 부근은 험준한 내륙산간지대를 이루며 특히 노암(露巖)과 단애가 발달하여 험준한 산세를 이룬다. 산의 북쪽에는 팔봉산(1,45
백산 / 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동상면과 풍산군 웅이면·안수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379m. 부전호(赴戰湖) 동쪽 20㎞ 지점에서 부전고원과 풍산군의 경계를 이룬다. 산의 북쪽은 북수산(北水山, 2,347m)·차일봉(遮日峰, 2,506m)·북수백산(北水白山, 2,522m)에,
백산 / 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신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837m. 낭림산맥에 속해 있고 북쪽으로부터 소백산(小白山, 2,184m)·동백산(東白山, 2,096m)·6마대산(馬垈山, 1,745m) 등 1,700m 이상의 산들이 이어져 평안남도와 함경남도
백산 / 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풍산군 웅이면에 있는 산. 높이 2,476m. 개마고원의 중앙부에 솟아 있으며 북서쪽으로 대암산(大岩山, 2,205m)과 남쪽으로 동곡산(東谷山, 2,330m)·북수백산(北水白山, 2,522m)·차일봉(遮日峰, 2,506m) 등을 연결하여 우리나라 최고의 험준
백산자 / 白散子 [생활]
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호두,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백산자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
백상루별곡 / 白祥樓別曲 [문학/고전시가]
1595년(선조 28)이현(李俔)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36구이다. 형식은 3·4조와 4·4조가 주축을 이루며, 3·3조가 적지않게 나온다. 작자의 유저 『교취당집(交翠堂集)』 권4에 전한다. 백상루는 평안북도 안주북성(北城) 안 청천강가에 있는
백석산 / 白石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과 진부면에 걸쳐 있는 산. 백석산의 높이는 1,365m이고,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中央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잠두산(蠶頭山, 1,243m)ㆍ백적산(白積山, 1,141m), 서쪽에 금당산(錦塘山, 1,173m)ㆍ거문산(巨文山, 1,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