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백리향 / 百里香 [과학/식물]
꿀풀과에 속하는 낙엽반관목(落葉半灌木). 잎은 마주 나고 난상 타원형,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5∼12㎜, 너비 3∼8㎜로서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어 향기가 난다. 꽃은 6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엽액(葉腋)에 2∼4개 씩 달리지만 가지 끝부분에서 총생(叢生)
백립 / 白笠 [생활/의생활]
흰 베로 만든 갓. 가늘게 쪼갠 죽사(竹絲)로 흑립(黑笠)과 같이 만든 뒤, 다시 그 위에 베를 입혀 만든다. 백포립(白布笠)이라고도 한다. 이 백립은 상복(喪服)에 착용하였다. 국휼(國恤)에 국민이 씀으로써 국상(國喪)을 표하였던 것이며, 또 사인(士人)이 삼년상(三
백마강 / 白馬江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부여 부근을 흐르는 금강의 명칭. 일반적으로 금강변 부여읍(扶餘邑) 정동리의 앞 범바위[虎岩]에서부터 부여읍 현북리파진산 모퉁이까지의 약 16㎞ 구간을 백마강이라 한다.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신무산(神舞山, 897m)에서 발원하는 금강은 서쪽으로 꺾여 흘러서
백마강가 / 白馬江歌 [문학/고전시가]
1625년에 황일호(黃一皓)가 지은 시가 작품. 어부가 계열의 장가(長歌)로 전체 9장이고, 각 장은 4행의 내용에 1행의 여음을 덧붙여 5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사본으로 『창원황씨가승(昌原黃氏家乘)』에 국한문혼용으로 적혀 있다. 지소(芝所) 황일호(黃一皓, 1588
백만명구령운동 / 百萬名救靈運動 [종교·철학/개신교]
1909년부터 1910년 사이에 한국교회에서 일어났던 전도운동. 한국교회의 조직적인 전도운동 또는 교회부흥운동의 역사는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비롯되었는데, 백만명구령운동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운동은 민족의 현실을 개혁하는 문제보다는 내면적인
백무고원 / 白茂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북서부와 함경남도(현재의 양강도)의 두만강 유역에 있는 고원. 면적은 6,520㎢, 평균 고도는 1,260m 가량이다. 우리 나라에서 개마고원(蓋馬高原)에 이어 두 번째로 높고 광활한 고원이다. 고원은 제삼기(第三紀) 말에서 제사기(第四紀)에 걸쳐 이 일대의
백무선 / 白茂線 [경제·산업/교통]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과 백암 사이에 부설된 철도. 191.7㎞. 백암을 기점으로 북계수(北溪水)상황토(上黃土)산양대(山羊臺)서두(西頭)연평(延坪)연암(延巖)삼사(三社)천수(天水)유평(楡坪)연수(延水)흥암(興巖)을 거쳐 무산까지 삼림철도(森林鐵道)이다.
백미꽃 / 白薇─ [과학/식물]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50㎝에 이르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잎과 더불어 털이 밀생한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 나며, 길이 6∼15㎝, 너비 3∼10㎝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흑자색으로 5∼7월에 핀다. 뿌리는 해열작용이 있어서 폐결핵으로
백발가 / 白髮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가사집 『경세설(警世說)』(혹은 ‘草堂問答歌’라 부르기도 함.)에 다른 12편의 가사작품과 함께 실려 전한다. 작자가 꿈에 어떤 걸인행색의 노인을 만나 그로부터 젊은 시절의 행적과 백발의 한스러움을 자탄하는 이야기를 듣는 문답식으로
백부자 / 白附子 [과학/식물]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잎은 어긋나고, 7∼8월에 연한 황색 또는 황색 바탕에 자줏빛이 도는 꽃이 핀다. 뿌리에는 진통작용이 있어서 약재로 이용된다. 특히 이것은 우리 나라 중북부 지방의 특산물로 신라 때에 이미 중국 문헌에 소개되었다. 약효성분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