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백곡집 / 柏谷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김득신(金得臣)의 시문집. 7책. 필사본. 『백곡집』 제 1책 권두에는 이서우(李瑞雨)·박세당(朴世堂)이 1686년과 1687년에 각각 쓴 서문에 이어서 오언절구 253수와 육언시 7수가 있다. 제 2책은 칠언절구 469수, 제 3책은 오언율시 462

  • 백골양자 / 白骨養子 [사회/가족]

    죽은 사람의 아들로서 양자를 삼는 가족제도. 아들의 항렬에 있는 사람 중에 양자로 삼을 수 있는 사람이 없을 때, 이미 죽은 아들 항렬의 사람을 가양자(假養子)로 삼아 그 가양자의 아들, 즉 손자 항렬의 사람으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대를 잇게 하는 제도이다. 신주양자(神

  • 백골징포 / 白骨徵布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의 폐해. 죽은 사람을 군적(軍籍)에 올려 놓고 강제로 세금을 거둬들인 폐해이다. 군정이란 군사 전반에 걸친 광의적인 면보다 군역(軍役), 즉 병역을 주로 한 군적과 군포(軍布)에 관한 행정을 말한다.

  • 백관복 / 百官服 [생활/의생활]

    관원의 정복. 관복은 의례의 성격에 따라 나라의 대사·경축일·원단·동지·조칙을 반포할 때나 진표할 때에 착용하는 조복, 왕이 종묘·사직에 제사할 때 착용하는 제복, 공사와 사은의 관계로 왕을 배알할 때 착용하는 공복, 평상 집무시에 착용하는 상복으로 구분된다. 이 밖

  • 백광홍 / 白光弘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의 문인. 아버지는 백세인(白世仁)이며 어머니는 광산 김씨로 첨정(僉正)김광통(金廣通)의 딸이다. 아우 백광안(白光顔)과 백광훈(白光勳) 및 종제 백광성(白光城)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1522년(중종 17) 전라도 장흥에 있는 사

  • 백광훈 / 白光勳 [종교·철학/유학]

    1537년(중종 32)∼1582년(선조 15). 조선 중기의 시인. 아버지는 세인, 어머니는 신광통의 딸이다. 형인 광안과 광홍 및 종제 광성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양응정·노수신 등에게서 수학하였다. 예빈시, 소격서 참봉을 역임하였다. 저

  • 백교회통 / 百敎會通 [종교·철학/불교]

    1912년 보성사에서 간행한 이능화 저서. 각 종교와 불교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불교에 대한 비방에 대변하고 있다. 제1편에서는 각 종교와 불교를 대조하고, 제2편에서는 불교를 대변하였다.

  • 백구사 / 白鷗詞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모두 79구. 벼슬에서 쫓겨난 처사가 대자연 속을 거닐면서 아름다운 봄날의 경치를 완상하는 내용이다.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에 실려 전하며, 『남훈태평가』에도 비슷한 내용의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백구사」는 장단은 도드리이고, 모두 8절로

  • 백구촌 / 百九村 [사회/촌락]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대표적인 한인 거주지. 1965년에 아르헨티나로 농업 이민을 한 한인들은 농업을 포기한 뒤, 1966년에 대부분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로 이주하였다. 그들은 처음에는 레티로(Retiro), 비자 솔다티(Visa Soldat

  • 백남운 / 白南雲 [정치·법제/정치]

    1895년∼미상. 경제학자·정치가. 1933년《조선사회경제사》를 발간하였다. 1937년《조선봉건사회경제사 상》을 발간하였다. 1946년 2월 김두봉·한빈 등이 북한에서 결성한 조선신민당의 경성특별위원회위원장을 맡는 한편, 좌익세력의 집결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의장단의 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