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배명균 / 裵明均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직업 안무가.연출가. 직업안무가 제1호로 함경남도 삼방(三防)에서 출생했다. 배병인과 남양 홍씨 부인의 3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삼방의 신고산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에서 중학교와 경성상고를 졸업했다. 경성상고 졸업 후 삼방으로 귀

  • 배불론 / 排佛論 [종교·철학/불교]

    불교에 대한 비판이론. 중국 동진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불교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대두되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초기에는 비판이 미미했다. 불교가 사회적, 사상적으로 영향력이 있으면서 도교와의 논쟁이 격렬해졌고, 이 과정에서 배불론은 더욱 발전하였다. 우리나는 고려

  • 배비장전 / 裵裨將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구활자본. 판소리로 불리어진 「배비장타령(裵裨將打令)」을 소설화한 작품이다. 판소리 열두마당에 속하지만,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판소리 사설을 여섯마당으로 정착시킬 때 빠진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 배삼익 / 裵三益 [종교·철학/유학]

    1534(중종 29)∼1588(선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이순 증손, 할아버지는 헌, 아버지는 천석이다. 어머니는 정세호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64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풍기군수, 양양부사, 사헌부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집인 <임연재

  • 배상익 / 裵尙益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1631(인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무원, 아버지는 응경, 어머니는 전해의 딸이다. 정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조수익·이식과 교유하였다. 161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625년 성균학학유를 시작으로 성균관전적, 사헌

  • 배설방 / 排設房 [정치·법제]

    궁중 행사 물품도구 배치 정렬을 담당한 관서. 궁중에서 행사가 있을 때 필요한 물품과 도구를 배치 정렬하는 일을 담당한 관서이다. 차일이나 휘장 치는 일 등 행사에 필요한 물품과 도구를 배치ㆍ정렬하는 일을 하였다.

  • 배시황전 / 裵是愰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효종조의 나선정벌(羅禪征伐)을 제재로 한 역사소설이다. 작품의 내용처럼 실제로 나선정벌은 두 차례에 걸쳐 행하여졌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는 제1차의 나선정벌에서 아군이 패배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사실은

  • 배와첩 / 坯窩帖 [언론·출판]

    저자 김상숙(1737-1805). 필사본. <배와첩>은 총 10면으로 구성된 첩이다. 서의 첫머리에는 <사미인곡>이란 제목아래 서문에 해당하는 글이 두 줄 내려서 쓰여 있고, 작품 원문이 실려 있다. 이어 <속사미인곡>의 한역 원문이 있고 끝에는 이 두 편에 대한 발

  • 배용길 / 裵龍吉 [종교·철학/유학]

    1556(명종 11)∼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헌 증손, 할아버지는 천석, 아버지는 삼익, 어머니는 남신신의 딸이다. 1585년(선조 18) 성균관에 입학,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에서 의병을 일으켜 김해를 대장으로 추대하고 그의 부장으로

  • 배유장 / 裵幼章 [종교·철학/유학]

    1618년(광해군 10)∼1687년(숙종 13). 조선 중기 학자‧처사. 부친은 배유지, 생부 배상익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증 이조판서 운천 김용이다. 형으로 배유화가 있다. 학문연구와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슬하에 5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로 증 의금부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