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방정환 / 方定煥 [교육/교육]
항일기의 아동문학가(1899∼1931). 1920년 일본 동양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아동예술과 아동심리학을 연구하였다. 1922년 5월 1일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였고, 1923년 3월 아동잡지《어린이》를 창간하였다. 1928년 ‘세계아동예술전람회’를 개최하였다.
방조제 / 防潮堤 [경제·산업/산업]
해안에 밀려드는 조수(潮水)를 막아 간석지(干潟地)를 이용하거나 하구나 만(灣) 부근의 용수 공급을 위하여 인공으로 만든 제방. 방조제 축조는 조차(潮差)가 크고 해안의 경사가 완만한 곳이 적당하다. 우리 나라의 서해안이 최적지이며, 간석지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일찍부
방조처사산거 / 訪曺處士山居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박순(朴淳)이 지은 한시. 7언절구. 그의 문집인 『사암집(思菴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작자가 조처사의 산골집을 찾아보고 지은 것인데, 조처사란 곧 조운백(曺雲伯)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명은 준룡(駿龍)이다. 내용은 “술이 취해 신선이 살고
방종현 / 方鍾鉉 [언어/언어/문자]
1905∼1952. 국어학자. 1926년오산중학교(五山中學校)를 거쳐, 1934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학 및 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동대학원에 입학하여 1938년 9월까지 국어학을 연구하였는데, 그 사이인 1936년 11월부터 1937년 7월까지 동경제국대학 대학
방주전 / 方酒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명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방주 일가의 여러 가지 어려움·시련과 군담 소설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소설이다. 이 작품은 윤리적 내용과 군담적(軍譚的) 내용을 주로 하고 있다. 소설 머리에서 주인공 방주가 애초에
방직 / 紡織 [경제·산업/산업]
식물·동물·광물질에서 실을 자아내고 그 실을 가지고 피륙을 짜는 것. 문(說文)에 방(紡)이란 실을 잣는 일[紡紡絲也]이라 했고, 직(織)이란 피륙을 짜는 모든 일[職作布帛之總名也]이라 하고 있듯이 크게 두 가지의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생산기법에 따라서 전통적인
방짜수저장 / 방짜수저匠 [예술·체육/공예]
구리와 주석을 일정한 비율로 합금한 쇠를 두드려 만드는 방짜 공법으로 수저 만드는 기능을 가진 장인. 강원도 시도무형문화재 제14호. 방짜수저는 한 벌이 만들어지기까지 사흘 동안 두드리고, 펴고, 다시 두드리는 전통적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렇게 만들어야 ‘참’ 방짜수저
방짜유기장 / 方字鍮器匠 [예술·체육/공예]
놋쇠(방짜쇠)를 두드려 각종 기물을 만드는 기술 및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경기도 무형문화재 제10호. 놋쇠의 장인을 유장(鍮匠)이고, 이는 유기(鍮器), 즉 놋제품을 다루는 기술을 갖고 있는 장인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명칭이다. 방짜유기장이란 기술공정상의 분류이다.조선
방청자 / 傍聽者 [언론·출판/언론·방송]
모임을 구경하며 내용을 듣는 참가자이다.
방초록 / 芳草錄 [문학/고전시가]
19세기 후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편자 미상의 필사본 가집(歌集). 이 가집에 수록된 시조 작품은, 남녀 간의 애정(愛情, 33수)과 이별(離別, 10수), 한가로운 가운데 즐기는 한정(閑情, 27수)과 유흥(遊興, 22수)·취흥(醉興, 19수) 등을 다룬 내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