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방물장수 / 방물장수 [사회/사회구조]

    여자에게 쓰이는 화장품과 장식품, 바느질 도구 및 패물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물건을 팔러 다니는 행상. 주로 노파들이 이 행상에 나섰다. 이들은 팔 물건을 보퉁이에 싸서 등에 지거나 머리에 이고 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장사를 하였는데, 본업 외에 여염집 여성에게 세상

  • 방산 / 方山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양구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삼현현(三峴縣, 또는 密波兮)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삼령현(三嶺縣)으로 고쳐 양록군(楊麓郡)의 관할하에 두었다. 940년(태조 23) 방산현으로 고쳤고, 현종 때 춘주(春州)에 귀속시켰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이속시켰다.

  • 방산유고 / 放汕遺稿 [종교·철학/유학]

    조봉원의 유고. 석판본, 4권 2책, 20세기. 손자 조광영이 1975년에 저자의 유문과 전후문자를 수집하여 4권 2책으로 편집하여 1975년에 간행하였다. 권수에 김철희가 1975에 지은 서문이 있고, 권미에 조광영이 1975에 지은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 방순경 / 方順京 [예술·체육/체육]

    해방 이후 문교부 실과교수요목위원, 무학여자중, 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서울 출생. 가톨릭을 신봉하는 가정에서 자라 한성여자고등학교(현재의 경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일본 동경여자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그 뒤 교육계에 재직하다가 우리나라의 여성교육, 특히

  • 방실놀이 [생활/민속]

    전라남도 도서지역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하던 민속놀이. 전라남도 도서(島嶼) 지역인 고흥·신안·여천 등지에서 음력 1월 15일(정월대보름) 밤이 되면 묵은해의 액과 살을 소멸하고, 새해의 명과 복을 맞이하고자 행하던 액막이, 즉 방사(防邪)놀이의 일종이다. 보통 이 놀이는

  • 방아깨비놀리기 [생활/민속]

    여름에 남자 어린이들이 방아깨비를 잡아 쥐고 그 몸짓을 보고 즐기는 놀이. 방아깨비는 메뚜기과(科)에 딸린 곤충으로 몸의 길이는 더듬이까지 포함하여 수컷은 54㎜, 암컷은 89㎜ 가량이며, 특히 뒷다리가 길고 든든하다. 이 곤충은 여름철 풀밭에 많이 서식하는데, 뒷다리

  • 방아노래 [문학/구비문학]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민요. 「방아노래」는 예로부터 전국적으로 불려왔지만 특히 제주도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제주도는 밭농사가 위주이기 때문에 지난날에는 주요곡물인 조·보리 및 잡곡을 찧고, 빻고, 쓿는 데 방아를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제주도에는 집집마다 느

  • 방어사 / 防禦使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사요지인 지방에 파견하였던 관직. 조선 중기 이후에는 무관직으로 전국의 군사요지에 파견되었다. 정식 명칭은 병마방어사 혹은 수군방어사이었으나 전원을 지방수령으로 겸임하게 하였으므로 겸방어사(兼防禦使) 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방어사제도는 별도의 군비를 갖춘

  • 방어진 / 方魚津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에 있었던 나루. 조선시대에는 울산도호부(蔚山都護府) 관할의 동면(東面)에 속해 있었다. 세종 때 삼포(三浦)가 개항되면서 이곳 염포(鹽浦)에 왜인(倭人)이 드나들게 되었다. 삼포왜란 후 염포의 왜인들이 물러났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왜인들이

  • 방언 / 方言 [언어/언어/문자]

    독립된 체계를 가진 한 언어의 분화체 또는 그 변종. 통상적으로는 한 언어의 변종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한때는 방언이 표준어에 비해 열등하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표준이 아닌 말이나 교양 없는 말로 정의되기도 하였으나, 언어 구조상으로 방언과 표준어 또는 방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