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발병부 / 發兵符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대를 동원할 때 쓰던 부신. 직경 7㎝, 두께 1㎝ 가량의 둥글며 납작하고 곱게 다듬은 나무쪽의 한 면에 발병이라는 글자를 쓰고 다른 한 면에는 ‘어느 도 관찰사’, ‘어느 도 절도사’라는 칭호를 썼으며, 제진인 경우에는 진의 칭호를 썼다. 그 한가운데를 잘
발심수행장 / 發心修行章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쓴 저서. 처음 출가하여 수행의 길에 들어선 승려들을 위하여 마련한 안내서이다. 성불을 이루기 위하여 초발심을 일으킨 자가 명심하여야 할 바를 706자의 사언절구로 표현하였다. 세월이 빨리 지나감을 말하고 젊어서 부지런히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발심수행장언해 / 發心修行章諺解 [언어/언어/문자]
원효(元曉)의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을 언해한 책.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발영시 / 拔英試 [정치·법제/법제·행정]
1466년(세조 12) 현직 중신과 문무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임시 과거. 이러한 발영시는 같은 해 실시된 등준시(登俊試)와 함께 뒷날 제왕에 의해 실시된 현직 관료를 대상으로 한 임시 과거의 한 전형이 되었다.
발왕산 / 發王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도암면에 걸쳐 있는 산. 발왕산의 높이는 1,458m이고,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황병산(黃柄山, 1,407m), 서남쪽에 박지산(博芝山, 1,391m), 남쪽에 두루봉(1,226m), 동쪽에 옥녀봉(玉女峰, 1,146
발인 / 發靷 [사회/가족]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상여가 집을 떠나는 상례의 절차. 영구를 상여에 옮기는 것부터 상여가 장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과정이라 할 수도 있다. 발인제가 끝나면 상여가 떠나는데, 명정·공포·만사·혼백·상여 등의 순서로 나간다. 혼백은 영거에 모시나, 영거가 없는 경우에는 사
발전소 / 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전기를 생산하는 곳. 전기는 물·기름·석탄·천연가스 또는 지열(地熱)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축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생산된다. 발전소는 전기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크게 수력발전소·화력발전소·원자력발전소로 구분된다. 미국의 에디슨이
발치설화 [문학/구비문학]
기생에게 혹한 남자가 사랑의 표시로 이를 빼어 주었으나 허사였다는 내용의 설화. 「배비장전(裵裨將傳)」의 근원설화의 하나로서 여색을 삼가라는 뜻으로 전승되었다. 이 밖의 발치설화로는 김삿갓이 금강산에 들어가 노승과 이를 걸고 시 짓기 내기를 한 예화가 전한다. 시를 잘
발효식품 / 醱酵食品 [생활/식생활]
곰팡이·세균·효모 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발효라는 작용을 이용해 만든 식품의 총칭. 미생물의 종류 식품의 재료에 따라 발효식품의 종류는 다양해지며, 복잡한 반응의 결과로 원료에 함유되어 있지 않던 성분들이 생겨나면서 영양가·기
밤나무 / Castanea crenata S.et Z.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 우리 나라에서 예로부터 재배하여온 평양밤은 중국이 원산지로, 만주의 남부로부터 화북 및 화중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 나라의 밤나무 재배는 종래의 재배지역으로 보아 함경북도와 평안남도는 중국계의 함종밤[咸從栗]이 많이 재배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