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학사포쇄일기 / 朴學士暴曬日記 [문학/고전시가]

    1871년 박정양(朴定陽)이 지은 장편 기행가사. 작품 형식은 4음 4보격 연속체라는 가사(歌辭)의 일반형식을 취하였고, 4음 4보격 1행 기준으로 총 2366행으로 이루어졌다. 필사 형식은 4음 2보격을 1구로 삼았을 때 2구 형식을 상하 2단으로 내려 쓰는 2단 귀

  • 박헌영 / 朴憲永 [정치·법제/정치]

    1900년∼1955년. 공산주의 운동가. 충남 예산 사람. 1919년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3.1운동 후 상해로 건너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자대회에 참석한 후,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국내침투를 시도하다 신의주에서

  • 박혁거세신화 [문학/구비문학]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에 관한 신화. 상고대 왕국에 관한 건국신화의 하나이다. 이 신화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은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이다. 『제왕운기』에는 조금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삼국사기』는 합리주의 사관에 터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 신화에 관한 가장 중요한

  • 박형룡 / 朴亨龍 [종교·철학/개신교]

    1897-1978년. 장로교의 대표적인 보수주의 신학자이며 목사. 평안북도 벽동에서 출생. 평양 산정현교회 전도사로 시작하여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31년 평양신학교 교수로 취임, 1933년 루이스빌의 신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신학난제선평>과 <교의신학

  • 박호 / 朴箎 [종교·철학/유학]

    1567(선조 즉위년)∼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덕로 증손, 할아버지는 율, 아버지는 천서, 어머니는 김흥의의 딸이다. 1584년(선조 17) 18세로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수찬이 되고, 1592년 임진왜란 때 26세로 순변사 이일의 종사관이 되

  • 박회수 / 朴晦壽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86∼1861). 할아버지는 인원, 아버지는 종우이다. 어머니는 통덕랑 신명성의 딸이다. 1851년(철종 2)에는 실록청총재관을 맡았으며, 1855년 임금이 파주에 갈 때 병을 핑계로 호종하지 않아 삭직되었다가, 다시 우의정을 거쳐 1859년 좌

  • 박효랑전 / 朴孝娘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본. 이 작품은 박원형(朴元亨)의 후손인 박수하(朴壽河)의 두 딸의 효행을 적은 실화소설이다. 이 책의 출판에 있어서 원고는 문중의 남사(南沙)라는 사람이 썼지만, 상대방이 두려워 받아주는 곳이 없었다. 그러나 합천군 가

  • 박훈 / 朴薰 [종교·철학/유학]

    1484(성종 15)∼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 중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미, 아버지는 증영이다. 어머니는 현감 박영달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6년 천거로 의영고주부를 거쳐, 보은현감, 사헌부장령, 사헌부지평, 동부

  • 박흥생 / 朴興生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할아버지는 시용, 아버지는 천귀, 어머니는 목신우의 딸이다. 1390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문과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김훈·서호, 사촌동생 연 등과 김자수의 문하에서

  • 박희도 / 朴熙道 [교육]

    1889년(고종 26)∼1951년.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해주 의창학교 보통과와 고등과 졸업, 1904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신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중앙유치원과 영신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이 되었다. 1916년 6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지금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