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태은 / 朴泰殷 [종교·철학/유학]

    1650∼1696. 조선후기 유생. 할아버지는 박의, 아버지는 박세채이다. 관직은 판관을 지냈다.

  • 박태항 / 朴泰恒 [종교·철학/유학]

    1647(인조 25)∼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동열 증손, 할아버지는 호, 아버지는 세해, 어머니는 임위의 딸이다. 1687년(숙종 13) 통덕랑으로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필선, 보덕, 문학, 충청도관찰사, 공조판서, 대사헌, 예조판서, 판돈녕부

  • 박태회 / 朴泰晦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후기 유생. 조부는 박의, 부친은 박세채이다. 형은 박태은‧박태여‧박태정이다. 1703년(숙종 29) 사간 김상직‧헌납 윤헌주 등이 과거 시험장의 부정을 뿌리 뽑아야 한다며 올린 계사로 인해 전라남도 진도로 유배될 때 아들은 경상남도 금갑도로, 홍수

  • 박통사신석언해 / 朴通事新釋諺解 [언론·출판/출판]

    조선 후기 김창조(金昌祚) 등이 《신석박통사》를 언해한 책. 목판본, 3권 3책, 백화문본 《박통사》를 당시의 쓰임새에 맞게 내용을 수정하여 백화문본 《박통사신석》을 만들고 그것을 언해한 것이다.《통문관지》 권 8에는 '신석박통사' 및 '신석박통사언해'라 기록되어 있

  • 박통사언해 / 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박통사』를 언해한 책. 『박통사』의 원문에 한글로 중국어의 독음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 간기는 없으나, 1677년(숙종 3) 10월로 되어 있는 이담명(李聃命)의 서문과 같은해 11월로 되어 있는 내사기(內賜記)에 의하여 1677년에 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박통

  • 박팽년 / 朴彭年 [종교·철학/유학]

    1417(태종 17)∼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원상의 증손, 할아버지는 안생, 아버지는 중림, 어머니는 김익생의 딸이다. 1434년(세종 16)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 충청도관찰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단종이 왕

  • 박평 / 朴枰 [역사/조선시대사]

    1462년(세조 8)∼1522년(중종 17). 조선 중기 무신. 고려 때 감무 박탁 5세손, 부친은 박귀연이다. 13∼14세 때 부모를 여의고 무학을 익혀 무과에 급제하여, 고려말기 박탁이 나주로 낙향한 후로는 처음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내금위열사‧검모포만호를 거쳐 전라

  • 박필정 / 朴弼正 [종교·철학/유학]

    1685(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세증, 어머니는 이여절의 딸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1718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1720년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1734년(영조 10) 판결사, 1751년 사직, 뒤에 한성부좌윤을 지

  • 박필주 / 朴弼周 [종교·철학/유학]

    1665(현종 6)∼1748(영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군수 태두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재상 송상기 추천으로 시강원자의가 된 뒤 지평·집의 등을 거쳐 세자찬선·이조판서·우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여호집』·『독서수차』·『주자왕복휘편』·『춘

  • 박하 / 薄荷 [과학/식물]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고려 때의 이두 향명으로는 방하(芳荷)라고 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영생(英生)으로 불렀다. ≪동의보감 東醫寶鑑≫·≪제중신편 濟衆新編≫에는 영성이, ≪물보 物譜≫에는 박하로 기록되어 있다. 학명은 Mentha arvensis var. pi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