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천향교 / 博川鄕校 [교육/교육]

    평안북도 박천군 박천읍 송덕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제기고(祭器庫) 등이 있었으며, 대성전에는 5

  • 박충원 / 朴忠元 [종교·철학/유학]

    1507(중종 2)∼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조 아들, 어머니는 기찬의 딸이다. 1531년에 승문원에 올라 홍문관에 참예하였다. 병조정랑, 이조정랑, 예빈시정, 통례원우통례 겸 교서관판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낙촌유고』가 있다.

  • 박충좌 / 朴忠佐 [종교·철학/유학]

    1287(충렬왕 13)∼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빈, 아버지는 장이다.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백이정이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배우고 돌아왔을 때 이제현과 함께 제일 먼저 가르침을 받았다. 판전민도감사, 찬성사, 판삼사사를 역임하였다.

  • 박치복 / 朴致馥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학자·문인. 함안(咸安) 출생. 아버지는 박준번(朴俊蕃)이고, 어머니는 현풍곽씨로 곽심태(郭心泰)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문장으로 이름이 났으며, 『노론(魯論)』과 『춘추(春秋)』를 7년간이나 읽었다. 약관의 나이에는 대책(對策)으로 동당시(東堂試)에 합격

  • 박타령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작품의 하나. 「박타령」은 판소리로 불리는 작품 중에서 판소리 창자가 향유한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작품인 「흥보가」의 성격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재효가 개작하여 정착시킨 판소리 사설에는 상층 문화

  • 박태기나무 / Cercis chinensis Bunge [과학/식물]

    콩과 박태기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콩과의 작은 나무로 3∼5m 가량 자란다. 박태기나무는 정원이나 공원에 조경수로 많이 심는다. 잎이 나기 전에 화려하게 피는 꽃 모양과 기후와 토질의 제약을 별로 받지 않기 때문에 세계적인 정원수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꽃자

  • 박태보 / 朴泰輔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정, 아버지는 세당, 어머니는 남일성의 딸이다. 당숙인 세후에게 입양되었다. 1677년 알성 문과에 장원해 성균관전적을 거쳐 예조좌랑이 되었다. 예조좌랑, 사간원정언, 이천현감, 파주목사 등을

  • 박태보전 / 朴泰輔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덕흥서관에서 나온 활자본 「박태보실기」가 있다. 이 작품은 역사적 인물인 박태보를 소재로 한 역사소설이다. 이 작품은 정사적 입장에서 직간하다 죽은 박태보의 사적을 서술해 놓았다. 장서각에 있다.

  • 박태손 / 朴泰遜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황, 아버지는 세남, 어머니는 이행진의 딸이다. 1673년(현종 14)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으며, 사간원정언, 홍문관수찬,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689년 하지사의 부사로서 청나라에

  • 박태유 / 朴泰維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696(숙종 22). 조선 후기의 문신. 동선 증손, 할아버지는 정, 아버지는 세당, 어머니는 남일성의 딸이다. 평강현 관아에서 태어났다. 1681년(숙종 7)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태릉참봉, 병조좌랑, 거제현령 등을 역임하였다. 효성이 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