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박지산 / 博芝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에 있는 산. 높이 1,391m. 태백산맥의 줄기인 중앙산맥에 속하는 산으로서 동쪽에 두루봉(1,226m)·발왕산(發旺山, 1,458m), 서쪽에 잠두산(蠶頭山, 1,243m)·백석산(白石山, 1,365m) 등이 솟아 있다. 서쪽 사면으로 흐르는 수
박진경 / 朴晉慶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1665(현종 6).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참봉 수일. 어머니는 조인복의 딸이다. 1596년(선조 29)에 장현광의 문하에 들어가서 글을 배웠는데, 그의 나이 16세이었다. 성품이 산수를 좋아하여 산수화 수폭과 천문·지도 등을 벽에 걸어두고
박진규 / 朴鎭圭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진원, 아버지는 계영, 어머니는 유명남의 딸이다. 통덕랑의 신분으로 1675년(숙종 1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사헌부지평, 사간원헌납, 사헌부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1690년에 강원도
박찬신 / 朴纘新 [역사/조선시대사]
1679년(숙종 5)~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박종발이다. 동생은 박재신‧박태신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시에서 병과 6위로 무과 급제하였다. 충청수사, 경상우병사, 배왕대장, 어영대장, 총융사, 평안병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17
박창원 / 朴昌元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3년(영조 29). 조선 후기의 시인. 부친은 흥준, 어머니는 진성수의 딸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에게 수학하였고, 이어 이동언을 따라 학문을 익혔다. 김원행·유척기 등 주로 노론계 인사들과 종유했다. 그의 문하에서는 시인 백윤구·
박창윤 / 朴昌潤 [종교·철학/유학]
1658년(효종 9)∼1721년(경종 1). 조부인 능허 박민은 남명 문인인 수우당 최영경과 한강 정구 문인으로 학문과 행실이 높았다. 아버지는 참봉 박경광, 어머니는 진양하씨, 아들은 서계 박태무이다. 1683년(숙종 9)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황해도절도사에 이르
박천군 / 博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서남단에 위치한 군. 동쪽은 영변군, 서쪽은 정주군, 남쪽은 청천강을 사이에 두고 평안남도 안주군, 북쪽은 태천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5°18′∼125°42′, 북위 39°34°∼39°48′에 위치하며, 면적 528.9㎢, 인구 8만 9460명(1944년
박천군읍지 / 博川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박천군의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찬연대 미상의 필사본 『박천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고, 『관서읍지』에 수록된 것도 있다. 내용 구성은 면리(面里)·도로
박천반닫이 / 博川─ [예술·체육/공예]
평안북도 박천지방에서 제작된 의복·옷감·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표준치수는 높이 60∼80㎝, 앞 너비 55∼90㎝, 옆 너비 37∼45㎝. 문판이 하나로 앞면 상단(上端)에서 위아래로 열게 되어 있으며, 의류 뿐만 아니라 귀중품 또는 제기(祭器)같이 무거운 것을
박천평야 / 博川平野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박천군과 영변군 일대에 걸쳐 있는 평야. 대체로 300m 이하의 낮은 구릉성산지가 산재하고 있는데, 봉린산(鳳麟山, 217m)·천등산(天燈山, 282m)·독수리봉(295m)·학무봉(鶴舞峰, 210m) 등이 이들이다. 박천평야는 보통 청천강 남쪽의 안주평야(安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