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하진양문록 / 河陳兩門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전 25권 25책. 국문 필사본. 목판본은 없고, 활자본으로는 1925년 경성 동양대학당, 광복 이후 1954년 공동문화사 발행의 상·중·하권 3권 3책이 있다. 「하진양문록」은 당시의 국문소설로는 드물게 보는 25권의 장편으로, 1788

  • 하처난망주 / 何處難忘酒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유호인(兪好仁)이 지은 한시. 오언율시 5수로, 『뇌계집(㵢溪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뇌계집』에는 제목 아래에 ‘효백낙천(效白樂天)’이란 세주(細註)가 있는데, 『동문선』 권10에는 이 세주까지를 제목으로 삼아 「하처난망주효백낙천(何處難忘酒效白樂天)

  • 하첩 / 夏帖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박상(朴祥)이 지은 한시. 칠언절구 2수. 『눌재집(訥齋集)』 권4와 『국조시산(國朝詩刪)』 권2 등에 전한다. 『눌재집』에는 ‘제숙보령공사시도소병(題叔保令公四時圖小屛)’이라는 제목 아래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는 사계절의 경치를 그린 조그만 병풍에 적어

  • 하풍죽로당집 / 下風竹露堂集 [언론·출판]

    저자 박지원(1737-1805),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111장이다. 표제는 '하풍죽로당집'으로 되어 있다. <연상각집> 계열본으로, <운산만첩당집>, <백척오동각집> 등이 이 책과 유사한 성격의 책들이다. 기(記) 16편, 서(書) 9편, 서(序) 6편, 인

  • 하해관 / 河海寬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12)∼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학자. 한 증손, 할아버지는 공효, 아버지는 진이다. 13세에 허목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성년이 되어서는 하홍도 문하에 출입하면서 조식의 학문을 사숙하였다. 효행도 뛰어났으며,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을 중심으로

  • 하현궁 / 下玄宮 [정치·법제]

    국장에서 국왕 또는 왕비의 재궁을 현궁에 내리는 의식. 임금 또는 왕비의 관을 묻는 광중을 현궁이라 한다. 하현궁은 광중에 재궁을 안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국장에서 대여가능소에 도착하면 재궁을 영악전 또는 정자각에 먼저 모셔둔다. 천전의를 거행한 후 찬궁을 열고 재궁

  • 학고시집 / 鶴皐詩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주섭의 시 「방삼오칠」·「개성회고」·「선죽교」등을 수록하여 1941년에 간행한 시집. 2권 1책. 석인본. 이 책은 1941년 아들 승식(承植)과 손자 규상(珪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응선(尹膺善)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규상의 후지(後識

  • 학고집 / 鶴皐集 [종교·철학/유학]

    김리만의 문집. 11권 6책. 권일의 첫머리에는 총목차, 권육까지는 한시가 수록되었다. 권칠부터 권십일까지는 산문이 실려 있다. 서두의 총목차에는 각권의 시제목만 나열되어 있으나, 실제 본문을 보면 먼저 시의 체제를 분류한 다음 한시를 실어놓았는데 순서는 총목차와 같

  • 학궁촌 / 學宮村 [사회/촌락]

    향교의 재정·인력의 기반이 되던 마을. 향교는 통상 관아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읍내에 위치하였고, 학궁촌도 향교 주변의 몇 개 마을이었다. 학궁촌은 성균관의 반촌의 예에 따라서 관이 지정한 것으로 보아 향교가 설치될 때부터 설정되었을 것이다. 학궁촌의 주민들은 향교의

  • 학당서원 / 學堂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 학당마을에 있는 서원. 1654년(효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처(安處)·정담(鄭湛)·안경지(安敬之)·안징(安徵)·안위(安衛)·안철(安徹)·나팔기(羅八紀)·나신도(羅伸道)·안국용(安國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백산면 학당리에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