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주대 / 朴周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836∼1912). 1895년 을미사변 때 창의통유문을 지어 유문에 보내고 안동 의병장 권세연을 비롯하여 이강년·서상렬 등 의병장을 지원하였다. 또 아버지 박득녕이 써오던《역서일기》를 평생 이어서 썼다. 저서로는《나암유고》·《나암수록》·《문음보》·

  • 박주운 / 朴周雲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0∼?). 1864년(고종 1)에 직강으로서 일강구목을 상소하였으며 이듬해 부수찬이 되었다. 이듬해 헌납을 역임한 뒤 비어책을 상소하였다. 1876년에는 화재를 당한 궁전의 수습책을 건의 하였다. 저서로《역학연고》2권이 있다.

  • 박주종 / 朴周鍾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1887년(고종 24). 증조부 박중경, 조부는 박한통, 아버지는 박필녕, 외조부는 유성룡의 후손인 유정조이다. 학행이 독실, 문장은 박학하고 웅장하였다. 여러 번 향시에 합격은 하였으나 문과에 급제 못했다. 1863년(철종 14) 삼정의 실무에

  • 박중경 / 朴重慶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관료(1726∼1782). 1754년(영조 30) 과거에 급제하였다. 경연에서 강의하였으며, 예조정랑, 운산군수, 충청도도사 등의 벼슬을 역임 하였다. 문집으로《동원집》이 있다.

  • 박중빈 / 朴重彬 [종교·철학/원불교]

    1891-1943. 항일기의 원불교의 교조이며 대종사(大宗師).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16년 4월 28일 대각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뒤에 이 날을 원불교의 개교일로 정하였다. 1924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를 조직

  • 박쥐구실설화 [문학/구비문학]

    자기 편리한 대로 부회하면서 요리조리 책임을 피하는 인물을 풍자한 설화. 문헌설화는 『기문』과 『순오지』에 실려 있는데, 『순오지』에는 ‘박쥐구실’이라는 속담을 풀이하는 형태로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설화가 당시에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각

  • 박증영 / 朴增榮 [종교·철학/유학]

    1464(세조 10)∼1493(성종 24). 조선 전기의 학자. 아버지는 미, 어머니는 강석덕의 딸이다. 1483년(성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486년 22세의 나이로 사가독서의 영예를 얻었다. 예빈시직장, 홍문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눌재

  • 박증휘 / 朴增輝 [종교·철학/유학]

    1616(광해군 8)∼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정실 증손, 할아버지는 수홍, 아버지는 진환, 어머니는 김선의 딸이다. 1648년(인조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54년(효종 5) 사헌부지평이 되고, 다음 해 전라도 암행어사가 되어 관리들의

  • 박지기법 / 剝地技法 [예술·체육/공예]

    문양 이외의 배경 부분의 백토를 긁어낸 뒤 투명한 회청색의 유약을 발라 문양과 배경의 대비를 이루게 하는 문양기법. 분청사기(粉靑沙器)의 태토(胎土)로 그릇을 빚은 다음, 그릇 전체에 백토(白土)로 분장(粉粧)을 하고 시문(施文)하고자 하는 문양을 그린 뒤, 문양 이외

  • 박지도 / 朴只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에 속하는 섬. 다도해상에 있는 섬으로 목포 서남쪽 25㎞ 지점에 있다. 북쪽의 기좌도(箕佐島), 서쪽의 반월도(半月島), 남쪽의 부소도(扶所島)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경 126°08′, 북위 34°42′에 위치하며, 면적 1.75㎢, 해안선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