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필선 / 弼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의 정4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독립관직으로 성립되기 전에는 보통 사헌부집의나 사간원사간이 이를 겸임하였다. 1392년(태조 1) 세자관속(世子官屬)을 처음 정하면서 좌우필선 각 1인을 두었고, 세종 때에는 집현전 관원들이 이를 겸직하였다.

  • 필운시문고 / 弼雲詩文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영행의 시문집. 9책. 필사본. 1747년(영조 23) 아들 이건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이건의 발문이 있다. 저자는 김창흡에게 시를 배웠다. ≪필운시문고≫ 제1∼4책은 ≪필운시고≫로 시 623수와 부록으로 송창유고가 실려 있다. 제5∼9책은 ≪필운문

  • 필원잡기 / 筆苑雜記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서거정이 역사에 누락된 사실과 조야의 한담을 소재로 서술한 수필집. 2권 1책. 목판본. 서거정은 일류의 해박한 지식과 깊은 식견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사적(事蹟)을 널리 채집하여, 위로는 조종조(祖宗朝)의 창업으로부터 아래로는 공경대부(公卿大夫)의

  • 필첩 / 筆帖 [언론·출판]

    저자 이조원(1758-1832). 필시본. 1책. 필첩 구성은 1책 36면이다. 내용은 이조참판 이조원이 은진정각으로 보낸 편지, 친척인 종질이 은진사군에게 보낸 편지, 이휘령이 종질에게 보낸 답장, 이휘재의 편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하강서원 / 荷江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에 있는 서원. 1786년에 창건하여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 1903년(광무 7) 유허지에 하강단소(荷江壇所)를 설치하여 봉단(奉壇)하였다. 1974년에 서원을 중건하였고, 1991년에 서원 내의

  • 하곡시초 / 荷谷詩鈔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인 허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07년에 간행한 시문집. 1707년(숙종 33) 허봉의 증손 허지(許墀)가 편집하고 허사규(許士奎)가 교감하여 간행하였다. 원래 허봉의 동생 허균(許筠)이 1605년(선조 38) 간행하였으나 유실되어 새로이 종가(宗家)와 허

  • 하남정씨유서 / 河南程氏遺書 [종교·철학/유학]

    유가류(儒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4.1×15.3cm, 반곽은 17.7×13.1cm이다. 판심제는 이정유서(二程遺書)이다. 권수는 8권 1책이다. 중국본(中國本)이고 죽지(竹紙)를 사용하였다.

  • 하담파적록 / 荷潭破寂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김시양의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광해군과 인조 때의 여러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또 그 당시의 사회적인 사건의 내용을 싣고 있다. 뒤에는『자해필담』과 천연두 예방법인『두진방』도 함께 수록되었다. 후세에 각각의 내용에

  • 하동금오산봉수대 / 河東金鰲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22호.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봉수대다. 그러나 『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의 하동현조에는 금오산봉수대는 물론 다른 봉수대의

  • 하동향교 / 河東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 있는 조선시대 향교.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 연대는 미상이며, 1730년(영조 6)에 부사 정덕명(鄭德鳴)이 횡보면 내기동에서 진답면 나동 성전골로 대성전(大成殿)만을 이건하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