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풍암집화 / 楓巖輯話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유광익이 여러 문헌에서 발췌한 자료를 연차순으로 수록한 야담집. 『어우야담』·『국당배어』·『부계기문』·『기재잡기』·『태평한화』·『용재총화』·『공사견문록』·『청파극담』·『동각잡기』·『추강냉화』·『석담일기』·『필원잡기』 등 총 45종에 달하는 문헌으로부

  • 풍애유고 / 楓崖遺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김필진의 시·서(序)·제문·언행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1책. 활자본. 서와 발이 없어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1은 시 156수, 권2는 서(序) 5편, 제문 3편, 언행록 1편, 과부체(科賦體) 8편, 권3은 부록으로 행장·묘표·만사 등으로 구성되

  • 풍요삼선 / 風謠三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문인 유재건과 최경흠이 『풍요속선』 이후의 위항시인 305명의 시 886수를 수록하여 1857년에 간행한 시집.위항시집. 7권 3책. 운각인서체자(芸閣印書體字). 『풍요속선 風謠續選』이 간행된 지 60년 되는 해인 1857년(철종 8) 『

  • 풍요속선 / 風謠續選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학자·시인 천수경 등의 『소대풍요』 이후의 위항시인 333명의 시 723수를 수록하여 1797년에 간행한 시집.위항시집. 7권 3책. 활자본. 『소대풍요 昭代風謠』가 간행된 지 60년 만에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가 중심이 되어 『소대풍요』 이후의 위항시인 33

  • 풍월향도 / 風月香徒 [문학/한문학]

    조선 선조 때에 활동한 일군(一群)의 시인들을 지칭하는 시단(詩壇). 이식(李植)이 이 시단의 맹주격이던 유희경(劉希慶)의 시문집 『촌은집(村隱集)』 발문에서 처음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발문에 의하면 유희경·백대붕(白大鵬) 등을 당시 사람들이 ‘풍월향도(風月香徒

  • 풍천향교 / 豊川鄕校 [교육/교육]

    황해도 송화군(지금의 황해남도 과일군) 풍해면 세교리에 있었던 향교. 1700년(숙종 26)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와 좌우 협실(挾室)·신문(神門)·홍전문

  • 프랑스 대통령 취임 축하 친서 [정치·법제]

    고종이 1887년 12월 3일 프랑스(大法民主國) 의정 상하 양원의 추대에 의해 프랑스 제3공화국 대통령에 즉위한 사디 카르노(Sadi Carnot)를 축하하기 위해 이듬해 1888년 6월 11일에 작성한 친서. 고종의 어압과 '대한조선대군주보(大韓朝鮮大君主寶)'라고

  • 피립 / 皮笠 [생활/주생활]

    가례 시 의장군이 쓰는 입자. 영조정순왕후가례시의 장군 57명은 홍의와 청의를 입고 피립을 쓰거나 청두건과 홍목대를 하였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를 보면 의장군 중 피립을 쓰지 않고 청두건을 쓰는 사람만 홍목대를 띠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립을 만드는 피립장이 있

  • 피생명몽록 / 皮生冥夢錄 [문학/한문학]

    작자·연대 미상의 한문소설. 필사본. 몽유록 유형의 소설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강도몽유록 江都夢遊錄」과 함께 묶여 있는 필사본이 있으며, 북한에 있는 1626년의 필사 기록이 있는 『화몽집 花夢集』에도 들어 있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오래지 않은 시기에 지어진

  • 피역가 / 避疫歌 [문학/고전시가]

    1727년(영조 3)경에 황전(黃㙻)이 지은 기행가사. 작자의 아들인 황윤석(黃胤錫)이 편찬한 『만은집(晩隱集)』에 전한다. 작자가 24세(1727)되던 해에, 과거공부를 하고자 시산(詩山)으로 가던 중 마마가 유행하여 오히려 무서운 전염병을 피하는 여행이 되었음을 노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