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박여룡 / 朴汝龍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611(광해군 3).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문희, 아버지는 수의, 어머니는 이윤화의 딸이다. 후릉참봉, 사옹원직장, 호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스승과 문하의 문답을 적은『석담어록』이 대표적이나 대부분 병화로 없어져 전하지 않는다
박연폭포 / 朴淵瀑布 [지리/자연지리]
개성시 북부 박연리에 있는 폭포. 폭포의 높이 37m, 너비 1.5m로, 우리나라에서 아름답기로 이름난 금강산의 구룡폭포(九龍瀑布), 설악산의 대승폭포(大勝瀑布)와 더불어 3대 명폭의 하나이며, 천연기념물 제38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일찍이 명유 서경덕(徐敬德)과 명기
박영보 / 朴永輔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08∼?). 종림 아들로 종악에게 입양되었고, 어머니는 오지수의 딸이다. 1844년(헌종 10) 직장으로서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형조판서·경기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남길 글로 신미양요 당시 정기원과 함께 올린〈역진미국병선자요정형자문략 〉이 있다
박영석 / 朴永錫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 서울 순화방(順化坊) 누각동(樓閣洞 : 지금의 종로구 누상동·누하동 부근)에 살면서 학동들을 가르치고, 저보(邸報)를 필사해주는 것으로 생업을 삼았다고 한다. 가난에 개의하지 않고 단정한 풍모를 잃지 않아서 군자라 불리었다. 여항시인들의 시사(
박영원 / 朴永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91∼1854). 할아버지는 경규, 아버지는 종순, 어머니는 조영소의 딸이다. 1813년(순조 13) 사마시를 거쳐, 1816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조판서·실록청총재관 등을 지냈다. 1846년에는 진하 겸 사은사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박영효 / 朴泳孝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정치가(1861∼1939). 갑신정변 주도 개화파. 특명전권대신 겸 수신사 역임. 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일본으로 망명했고, 1894년 일본 정부의 주선으로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에 내무대신으로 입각했다.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역모 혐
박영희 / 朴英熙 [문학]
1901년∼미상. 시인·소설가·평론가. 1921년에 귀국하여 종합교양지《신청년》, 시 전문지《장미촌》의 동인으로 활약, 1922년에는《백조》 동인이 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개벽사에 입사하였고, 그해 10월 신경향파 문학단체인 파스큘라를 결성하였으며 1925년 카
박옹시초 / 泊翁詩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李明五)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晩用)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洪就榮)·김좌근(金左根)·정원용(鄭元容)·조두순(趙斗淳)·윤정현(尹定鉉)·김병학(金炳學
박옹집 / 泊翁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명오의 시집. 9권 4책. 목활자본. 이 책은 1859년(철종 10) 아들 만용이 편집, 간행하였고, 시 525수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홍취영·김좌근·정원용·조두순·윤정현·김병학·남병철 등 고관·명사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만용의 발문이
박외선 / 朴外仙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한 교육자.안무가. 일제 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정식 클래식 발레교육을 받은 최초의 조선인으로 한국인 최초로 일본 체육학교 무용교수이자 무용영화 안무가를 역임했다. 1960년대 미국의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