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승종 / 朴承宗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충원 증손, 할아버지는 계현, 아버지는 안세, 어머니는 황림의 딸이다. 1585년(선조 18)에 진사가 되고, 다음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89년 봉교, 이어 지제교·병조정랑을 역임하고, 부제학,

  • 박승찬 / 朴勝燦 [경제·산업/경제]

    1926년∼1979년. 경영인. 금성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44년 3월 청주공립중학교 졸업 1945년 4월 일본 게이오의숙 의학부 예과에 입학하였으나 광복으로 귀국하였다. 1950년 6·25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영문과를 3년 수료하였다. 1967년 호남정유 감

  • 박승환 / 朴昇煥 [정치·법제/정치]

    1869년(고종 6)∼1907년(융희 1). 순국지사. 서울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명성황후시해사건의 만행이 자행되자, 통분하여 일본인에 보복하고자 하였으나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1907년 7월 일제가 헤이그특사사건을 구실로 고종을 강제양위시킬 때, 궁중에서

  • 박시몬 / 박시몬 [예술·체육/무용]

    일제강점기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활동한 무용가. 러시아 해삼위(海參威,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생했다. 러시아 원동대학(遠東大學)을 졸업했다.그는 1921년 4월 해삼위학생음악단의 일원으로 고국을 찾았다. 해삼위학생음악단은 1921년 4월 24일 원산을 통해 고국

  • 박시싸움 [생활/민속]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음력 정월 보름날 전후로 3일간 밤에 동서 양편이 겨루는 남성집단놀이이다. ‘박시놀이’ 또는 ‘박시’ 등으로도 불린다. 기원이나 발생연대는 알 수 없으나 거의 매년 연중행사로 거행되어 왔다. 이 놀이의 대장 격인 완력이 세

  • 박시원 / 朴時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64∼1842). 1798년(정조 22)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간에 이르렀다. 안동김씨 세도정치 때 낙향하여, 영천에 있는 이산서원에서 강학하였다. 저서로는《일포집》이 있다.

  • 박신경 / 朴申慶 [종교·철학/유학]

    1713년(숙종 39)∼1790년(정조 14).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성집, 어머니는 김만유의 딸이다.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원법의 산출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족형인 손경과 함께 저술한《주서강록간보차의》는 주서의 난해한 부분을 이해하기 쉽도록 사전적 주

  • 박심문 / 朴審問 [종교·철학/유학]

    1408(태종 8)∼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침, 아버지는 강생, 어머니는 윤승경의 딸이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사온서직장이 되었고, 1436년(세종 18)에 친시문과에 급제하였다. 기주관으로 있다가 함길도절도사 김종서가 북방에 육진을 개척할

  • 박씨전 / 朴氏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역사소설·군담소설·전쟁소설의 범주에 넣지만,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박씨가 여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여걸소설(女傑小說)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이 소설은 ‘변신(變身)’의 모티프를 가지고 있

  • 박안신 / 朴安臣 [종교·철학/유학]

    1369(공민왕 18)∼1447(세종 29).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원정 증손, 할아버지는 천, 아버지는 문로, 어머니는 박사덕의 딸이다. 1399년(정종 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라도관찰사, 충청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