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성형 / 朴成珩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 1727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사변가주서·부사정·전적·직강·고부군수·예조정랑·창령현감 등의 관직에 올랐다. 치적을 쌓기도 했지만, 사리(私利)를 축적한 이유로 의금부의 조사를 받기도 하였다.

  • 박세당 / 朴世堂 [종교·철학/유학]

    1629-1703. 조선 숙종때의 실학자. 1703년 <사변록>을 엮었다. 그 내용이 전통적인 정주의 해석과 다르다고 간주되어 사문난적으로 몰려 유배되던 도중에 죽었다. 그는 실리주의적이고 현실주의적인 방법을 중시했다. 당시 금기시되던 <노자>와 <장자>에 대해 주석하

  • 박세모 / 朴世模 [종교·철학/유학]

    1610(광해군 2)∼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응복 증손, 할아버지는 동열,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신흠의 딸이다. 1654년(효종 5) 춘당대정시에 갑과로 급제하여 전적·병조좌랑·정언·직강·지평·사예·부평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서인계열로 홍명하·박장원

  • 박세무 / 朴世茂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동, 아버지는 중검, 어머니는 이관식의 딸이다. 153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자시정, 내섬시정, 군자감정을 역임하였다. 괴산의 화암서원에 제향 되었다.

  • 박세성 / 朴世城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응천 증손, 할아버지는 동민, 아버지는 환, 어머니는 임선의 딸이다. 1651년(효종 2)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관을 거쳐 홍문관정자·예문관검열·봉교 등을 역임하였다. 남양부사, 동부승지, 형조참의

  • 박세채 / 朴世采 [종교·철학/유학]

    1631-1695. 조선 숙종 때의 성리학자. 김상헌의 문하에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정치적으로는 서인으로 있다가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되자 소론의 영수가 되었다. 예학에 밝았으며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여 황극탕평설을 주장하였다. 저서로는 <범학전편> <남계집

  • 박세통설화 [문학/구비문학]

    고려 중기의 문신 박세통에 관한 설화. 동물을 구해주고 보은을 받았다는 동물담이 박세통과 결부된 인물전설이다. 문헌설화는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櫟翁稗說)』, 『영해군읍지』와 『교남지(嶠南誌)』에 실려 있다. 구전설화는 박세통의 출생지인 경상북도 영해에서 전승된다

  • 박세화 / 朴世和 [종교·철학/유학]

    1834년(순조 34)∼1910년. 한말의 의병. 경상 8세손, 어머니는 우씨이다. 정통의 위정척사계열 학자로서 서학(西學)의 전파에 대하여 우려하였다. 1895년 영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는 등 개혁정치에 반대하였다. 또한 을미사변과 단발령 등 일본의 내

  • 박세환 / 朴世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관리·독립협회원(?∼?). 인천부관찰사를 역임했으며 1896년에 창립된 독립협회에 참가, 중견관료로서 가담했다. 1897년 독립협회가 조직의 활성화를 위하여 토론회를 구성할 때 3인위원회의 한 사람으로 지명돼 활동했다. 독립협회가 만민공동회를 중심으로 적

  • 박세후 / 朴世煦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50(명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안의 증손, 할아버지는 미창, 아버지는 사화, 어머니는 신복담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이다. 151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광양현감, 밀양부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