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박서 / 朴瑞 [종교·철학/유학]
1707년(숙종 33)∼1765년(영조 41). 조선 중기의 학자. 1746년(영조 22)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는 경전이나 성리서 및 예학은 물론, 선가·불가·복서·의약·천문·지리·재정·군사 등에까지도 통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주요저술로는〈대학구
박석고개 / 박석고개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과 불광동·구파동 사이에 있는 고개. 동쪽에 북한산이 높이 솟아 있는 데 비해 서쪽은 낮은 구릉성 산지가 남북방향으로 뻗어 있다. 박석고개를 분수령으로 남쪽은 연신내(일명 延曙川)와 불광천이 낮은 저지를 만들고, 북쪽으로는 창릉천(昌陵川)이 흘러
박석기 / 朴錫基 [예술·체육/국악]
1899년∼1952년. 거문고산조의 명인. 전라남도 옥과 출신. 일본 동경제국대학을 졸업하였으나 예술에 뜻을 두고 거문고산조의 창시자인 백낙준(白樂俊)에게서 거문고풍류와 거문고산조를 배워 명인(名人)이 되었다. 향리에 초당을 짓고 명인·명창들을 초빙하여 사범으로 삼고
박선 / 朴璿 [종교·철학/유학]
1668(현종 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순, 아버지는 성동, 어머니는 권주의 딸이다. 1696년(숙종 2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여러 지역의 현감과 병조정랑·사헌부장령 등을 지냈다. 관직은 동몽교관을 지냈다. 저서로는『도와집』
박선장 / 朴善長 [종교·철학/유학]
1555(명종 10)∼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전, 어머니는 웅천주씨이다. 1605년(선조 38) 51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별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이 되었고 성리학에 힘썼다. 1608년 예안현감, 1614년(광해군 6) 경상도사 등을
박성석 / 朴星錫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09(숙종 35).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동주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1680년에 비변사의 낭관에 보직되고, 1682년 창성방어사를 거쳐, 뒤에 전라좌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한
박성양 / 朴性陽 [종교·철학/유학]
1809년(순조 9)∼1890년(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제일 아들, 어머니는 이운원의 딸이다. 이지수의 문인이다. 송근수의 천거로 1880년(고종 17)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편서로
박성양증시문서 / 朴性陽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증규장각제학 박성양(朴性陽)에게 '문경(文敬)'이란 시호를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도덕박문왈문 숙야경계왈경'이라 적어 문경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8월 25일 정2품 규장각제학에 추증되었다.
박성양특증문서 / 朴性陽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대사헌을 지낸 고 박성양(朴性陽)을 정2품 자헌대부, 규장각제학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순종실록》1910년 8월 25일 기사에는 기사에는 박성양을 정2품 시호를 내린다는 순종의 명이 있다.
박성옥 / 朴成玉 [종교·철학/유학]
1690(숙종 16)∼1743(영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세환, 아버지는 희민, 어머니는 권태행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사마시에 합격, 1725년(영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28년 무신란 때는 향인의 의병장이 되어 정부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