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박봉령 / 朴鳳齡 [종교·철학/유학]
1671(현종 12)∼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진환 증손, 할아버지는 증휘, 아버지는 성익, 어머니는 서정리의 딸이다. 현감 민종로의 딸과 혼인하였다.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헌납·이조좌랑·부수찬·수찬·이조정랑·부교리·교리·
박사 / 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홍문관·승문원·교서관 등의 정7품 관직. 정원은 성균관에 3인, 홍문관에 1인, 승문원에 2인, 교서관에 2인이다. 연산군 때 성균관을 혁파하면서 박사직도 다른 관서로 나누어 보냈다가 1506년(중종 1) 중종반정으로 원상회복되었다. 1895년(고종
박사수 / 朴師洙 [종교·철학/유학]
1686(숙종 12)∼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세기 증손, 할아버지는 태정, 아버지는 필영, 어머니는 안진의 딸이다. 대사헌 필명에게 입양되었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1727년(영조 3) 승지가 되었으며, 그 이듬해 대사성이
박사익 / 朴師益 [종교·철학/유학]
1675(숙종 1)∼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동량 후손, 할아버지는 태두, 아버지는 참봉 필하, 어머니는 윤반의 딸이다. 1712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그가 벼슬하던 시기는 격변기여서 평탄한 벼슬
박사해 / 朴師海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1∼1778). 결성의 안핵어사가 되어 홍양해의 산송사건을 해결하여 이름을 떨쳤다. 대사간을 거쳐, 이조참의가 되었으나 과단성이 없고 무사안일하다 하여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복직되었다. 정치적 수단도 뛰어나서 내외의 요직을 두루 지냈고, 외교적
박상 / 朴祥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30(중종 25). 조선 중기의 문신. 광리의 증손, 할아버지는 소, 아버지는 지흥, 어머니는 서종하의 딸이다. 150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교서관정자, 승문원교검, 전라도사, 사간원헌납, 담양부사, 순천부사, 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박상검 / 朴尙儉 [역사/조선시대사]
1702(숙종 28)∼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환관. 심익창에게 수학하였다. 김일경과 원휘가 차례로 영변부사로 부임해 심익창의 집에 자주 드나들자 이들과 친교를 맺게 되었다. 김일경으로부터 윤취상·원휘·심익창 등을 통해 받은 은화 수천 냥을 이용해 환관과 궁녀
박상은시장 / 朴尙恩諡狀 [정치·법제]
조선 초기의 문신 박상은(朴尙恩)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 8월 민종묵(閔種默)이 지어서 봉상사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사후 약 490년이 지난 1910년에 후손 박영배(朴英培)가 병조판서 홍문관대제학을 역임한 민종묵에게 부탁하여 지은 것이다
박상은증시문서 / 朴尙恩贈諡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고예조판서 박상은(朴尙恩)에게 '무숙(武肅)'이란 시호를 발급한 칙첩. 문서에는 '절충어모왈무 집심결단왈숙'이라 적어 무숙이란 시호를 내린 연유를 적었다. 1910년 8월 26일《순종실록》의 기사에 의하면 순종은 57명에게 시호를 주고 3명의
박상현 / 朴尙玄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693(숙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수림의 아들, 어머니는 이부민의 딸이다. 경전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대학』에 밝았다. 그 뒤『태극도설』·『통서』·『황극경세』·『역학계몽』등의 성리서를 깊이 연구하여『음양소장도』를 저술하였다. 저서로는『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