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총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북학 / 北學 [역사/조선시대사]
17,18세기에 청나라에서 발흥한 학문을 우리 나라에서 본받아 문물제도를 개혁하고자 한 학풍. 18세기의 북학파들도 청조 문명의 선진성을 직시하고 겸손한 태도로 그것을 배우자는 뜻으로 북학을 주장한 것이었다. 청조의 학술은 명말청초에 일어난 일련의 개혁적인 실학자들의
분가 / 分家 [사회/가족]
가족성원의 일부가 원래 속하던 집에서 분리, 독립하여 따로 살림을 나가는 일, 또는 새로 세워진 집을 일컫는 말. 우리 나라의 전통적 가족제도는 큰아들이 부모를 모시고 집을 계승하며 둘째아들 이하는 결혼 후 조만간 살림을 나가 분가를 하였는데 이것을 장자직계가족제도(長
분급문기 / 分給文記 [사회/가족]
전통시대 재주(財主)가 살아있을 때에 토지·노비 등의 재산을 자녀들에게 나누어 준 문서. 부모가 죽은 뒤에 형제자매들이 모여 합의하여 재산을 나누는 문서인 화회문기(和會文記)와는 구별된다. 분급문기의 구성은 문기를 작성한 연월일과 분급 대상자, 분급하는 사유와 당부하는
분대 / 粉黛 [생활/의생활]
백분과 눈썹먹[眉墨]. 옛날 우리 나라 사람들이 화장할 때, 백분과 눈썹먹을 반드시 사용하고 이 두 가지의 사용 빈도가 가장 많았으므로 화장품을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또 백분과 눈썹먹의 사용은 화장을 의미하였기 때문에 화장을 지칭하기도 하였다. 화장한 여인은
분류사 / 分類詞 [언어/언어/문자]
문장 안에서 결합되는 말의 의미상 또는 문법상의 특징에 관련된 분류를 나타내는 언어 형태. 국어에서 분류사는 명사(정확히는 명사 지시물)를 의미적으로 범주화하는 기능을 하며, 수량사와 함께 결합하여 명사의 수량 단위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단위 명사라 불리기도 한다. 분류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조문명·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 토
분석 / 分石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환곡의 폐해. 임진왜란 후 삼정의 문란이 극심했을 때, 벼슬아치들이 국고미를 착복하던 방법으로 재고 양곡을 서리배가 착복하여 써버리고, 착복한 곡식의 부족분을 채우기 위하여 겨를 대량으로 섞어서 석수를 채웠다. 이 경우 1석을 2석으로
분수계 / 分水界 [지리/자연지리]
인접하는 하천 유역을 나누는 경계. 분수계는 인접해 있는 하천 유역의 경계를 말하며 유역계(流域界)라고도 한다. 다른 하천 유역의 경계를 주분수계(主分水界), 하나의 본지류(本支流) 사이 또는 지류 사이의 경계를 부분수계(副分水界)라고 한다. 분수계는 서로 인접하는 하
분업 / 分業 [사회/사회구조]
물질생산과 관련해 서로 다른 부분들이 상대적 자립성을 가지고 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노동형태. 나눠맡기. 분업은 기술적·지역적·사회적인 여러 수준에서 여러 가지 양태로 표현되며, 기본적으로는 자연적 분업과 사회적 분업으로 구분된다. 자연적 분업은 연령과 성(性) 등에
분장 / 粉粧 [예술·체육/공예]
태토의 색이나 질감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성형된 기물의 표면에 백토 또는 색토를 발라 피막을 이루는 도자기 장식기법. 백토의 흔적은 분장문(粉粧文)이라고 하며, 특히 우리 나라 도자기 중에서는 분청사기(粉靑沙器)에서 그 특색이 뚜렷하다. 분청사기는 그 장식기법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