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박동원승급문서 / 朴東元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0일. 육군부위 박동원(朴東元)을 6품 승훈랑에 승급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9일 전의 문서이다. 이 문서의 발급 하루 전인 1910년 8월 19일《일성록》에는 박재빈(朴齊斌) 등을 대거 가자한 기록이 있다.

  • 박두세 / 朴斗世 [종교·철학/유학]

    1650(효종 1)∼1733(영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이건, 아버지는 율이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직이 제수되었으며, 1686년 의금부도사로 권대운을 압송할 때 편리를 보아주었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진주

  • 박람회 / 博覽會 [경제·산업/산업]

    한 나라 또는 지역의 문화상태나 산업상태를 소개하기 위하여 그에 관련한 각종 사물이나 상품을 진열해 놓은 곳. 대개 일정한 기간을 정해 놓고 일정한 장소에 산업·경제·학술·종교·교육·예술·보건위생 등의 국력 현황과 외국의 발전상 또는 그와의 비교 등을 나타낸 전시품을

  • 박만규 / 朴萬奎 [과학기술/식물]

    1906년∼1977년. 식물분류학자‧과학교육자. 전라남도 구례에서 출생하였다. 1925년 광주사범학교를 나와 순천국민학교 교사를 하다가 중학교 및 사범학교의 식물교사 검정시험에 합격하여 광복 때까지 경성중학교에서 생물교사를 하였다. 광복 후 군정청 문교부 편수관을 거쳐

  • 박문국 / 博文局 [역사/근대사]

    1883년 인쇄, 출판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박문국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산하기관인 동문학의 신문발행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신문발행경비는 특수한 세수권을 부여받아 충당되었고, 각 지방관아에 배부되어 그 수익금으로 유지되었다.

  • 박문수 / 朴文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1∼1756).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예문관검열로 뽑혔다. 이듬 해 세자시강원설서·병조정랑에 올랐다가 1724년 노론이 집권할 때 삭직됐다. 이후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1730년 충청도 암행어사로 나가 기민에 힘

  • 박문수설화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암행어사로 유명하였던 박문수에 관한 설화. 문헌설화는 『기문총화(記聞叢話)』 2편, 『계서야담(溪西野談)』 1편, 『청구야담(靑邱野談)』 3편, 『선언편(選言篇)』 2편, 『동야휘집(東野彙輯)』 2편, 『대동기문(大東奇聞)』·『실사총담(實事叢譚)

  • 박문수전 / 朴文秀傳 [문학/고전산문]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어ᄉᆞ박문슈’ 또는 ‘어사박문수전’이라는 제목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1915년에는 유일서관(唯一書館), 1926년에는 경성서적업조합(京城書籍業組合), 1952년에는 세창서관 등에서 출판하였다. 필사본이나 목판본은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 박문욱 / 朴文郁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의 가인(歌人)·시조작가. 서리(書吏)출신이다. 『해동가요』에 수록된 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 56명 가운데 한 사람이다. 김수장이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에서 활동하던 사람들 중, 가장 뜻이 통하던 지기(知己)의 하나라고 밝힌 바 있다. 『청구가요 靑丘歌謠』

  • 박문원 / 博文院 [역사/근대사]

    1902년 궁내부에 소속되어 국내외의 고금도서, 신문, 잡지 등을 보관하던 관청. 대한제국 때 국내외의 온갖 서적을 보관하던 관청으로, 관원으로 장, 부장 각 1인, 찬의 2인, 감서 2인, 기사 3인이 있었다. 그 뒤 감서는 참서로, 기사는 주사로 바뀌었고, 참서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