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밀양 만어산 암괴류 / 密陽萬魚山岩塊流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산에 있는 너덜 지대. 밀양에는 ‘밀양의 신비’라고 일컬어지는 세 곳이 있다. 이는 삼복더위에도 얼음이 어는 얼음골, 천년고찰의 표충사에 있는 표충비각, 그리고 만어산 암괴류가 그것이다. 자연경관은 물론 지형학적인 관점에서도 학술적
밀양 재약산 사자평 고산습지 / 密陽載藥山獅子坪高山濕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 일원에 위치한 고산습지. 밀양 재약산 사자평 고산습지는 약 580,000㎡로 국내 최대 규모의 산지습지이다. 2006년 12월 28일에 환경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습지보호지역은 해발 1,000m 이상의 산지가 연이어 나타
밀양강 / 密陽江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밀양시를 흐르는 강.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고현산(高峴山 ,1,033m)에서 발원하여 S자형의 유로를 그리면서 남류하다가 동창천(東倉川)ㆍ청도천(淸道川)과 합류하여 밀양시 부근 삼랑진에서 낙동강 본류에 합류한다. 유로연장 96㎞, 유역면적 1,476㎢으로, 유로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 / 密陽警察署爆彈投擲義擧 [역사/근대사]
1920년 12월 27일 최수봉이 경상남도 밀양시밀양경찰서 사무실 안에 폭탄을 던진 의거. 1920년 11월 최수봉은 밀양군 상남면 기산리에 거주하는 김상윤을 만나 독립운동에 투신할 것을 권유받고 응낙하였다. 최수봉은 독립운동의 기세를 올리기 위하여 밀양경찰서를 파괴하
밀양고례리사화동유적 / 密陽古禮里─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에 있는 후기 구석기시대의 야외 유적. 1995∼1997년부산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부산으로부터 북쪽 방향으로 100㎞ 거리의 내륙 깊숙한 가지산(加智山) 계곡에 위치한 이 유적은 낙동강의 작은 지류인 단장천(丹場川)의 가장 위쪽
밀양군읍지 / 密陽郡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밀양군(현 밀양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密陽郡邑誌(경상남도밀양군읍지)’라고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정조 때 편찬된 필사본 『밀양부읍지』 1책
밀양대교 / 密陽大橋 [경제·산업/교통]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과 가곡동을 연결하는 다리. 대구부산고속도로(고속국도 제55호선)상에 건설된 다리로 밀양시 중심지의 동남부에서 낙동강의 지류인 밀양강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교량이다. 교량 북단이 밀양시 시내 일부 및 경부선 철길과 교차하면서 가곡터널과 곧바로 연결
밀양무안리향나무 / 密陽武安里香─ [과학/식물]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있는 향나무. 상남도기념물 제119호. 나무의 높이 1.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1m이며, 수관(樹冠)은 고루 넓게 퍼져서 평평하다. 넓게 퍼진 곁가지를 지탱하기 위해서 받침대가 서 있다. 나무의 높이가 높은 것은 아니나 꼭대기가
밀양박씨족보 / 密梁朴氏族譜 [사회/가족]
조선후기 문신 박승건이 1662년에 간행한 밀양박씨의 족보. 분량은 1책이며, 호남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표제는 “밀양박씨족보”, 판심제는 “밀양세보(密陽世譜)”이다. 크기는 반곽 가로 19.5㎝, 세로 24㎝이며, 유계(有界), 주쌍행(註雙行), 선장(線裝), 저
밀양반닫이 / 密陽─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밀양지방에서 제작된 의복·옷감·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표준치수는 높이 50∼60㎝, 앞너비 65∼80㎝, 옆너비 35∼45㎝. 통영·진주 등의 반닫이와 더불어 경상도반닫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경상도반닫이는 높이가 넓이에 비해 얕은 편이며, 거멍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