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탐해 / 醓醢 [생활/식생활]
고기를 잘게 썰어 간장에 조린 반찬. 고기를 포로 떠서 말리고, 잘게 썬 것을 수수로 만든 누룩과 소금에 섞고, 좋은 술에 담가 항아리 속에 100일 동안 둔다. 이전에는 건어를 포로 떠서 만들었으나 숙종 때 이미 돼지고기로 담그고 도미로 밥을 지어그 위에 발랐다. 제
탕관 / 湯罐 [생활/식생활]
찻물을 끓이는 데 사용하는 주전자. 찻물을 끓이는 데 사용하는 차솥, 차주전자, 철병 등을 모두 탕관이라 한다. 재료로는 석제, 철제, 은제, 동제 등이 있는데 녹이 나지 않는 석제나, 자기류, 은제류가 좋다. 차솥은 다리가 있는 다정과 다리가 없는 다부가 있다.
탕평과 / 蕩平科 [정치·법제]
조선 영조 때 탕평정책 시행을 기리기 위한 한 방편으로 실시한 특수과거. 부정기 시험의 하나인 정시의 일종이다. 탕평책의 일환으로서 유생들에게 당론을 금하게 할 목적으로 1772년(영조 48)에 처음으로 설시하여 임종주·남학문·서유방 등을 선발한 것이 곧 탕평과의 유
탕평책 / 蕩平策 [정치·법제/정치]
조선 영·정조대에 당쟁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려한 정책. 영·정조대에 꾀해진 탕평정책은 전제왕조대에 격렬한 파당간의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 정국을 이끌어 나갔다는 점에서 전대보다는 발전된 정책운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태교 / 胎敎 [종교·철학/유학]
임신중에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 임산부가 지켜야 할 규제. 좋은 아이를 낳기 위해서 임부는 물론 측근들의 언행까지도 정성을 다해야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는 믿음에서 태교가 생겨났다. 태교문헌으로는 빙허각이씨의 <규각총서>, 사주당 이씨의 <태교신기> 등이
태교신기 / 胎敎新記 [언어/언어/문자]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가 1800년(정조 24)에 아기를 가진 여자들을 위하여 한문으로 글을 짓고, 아들인 유희(柳僖)가 음의(音義)와 언해를 붙여 1801년(순조 1)에 이루어진 책. 1821년(순조 21)에 쓴 신작(申綽)의 서문과, 1801년
태능 / 太能 [종교·철학/불교]
1562년(명종 17)∼1649년(인조 27). 조선 후기의 승려. 휴정의 전법제자이자 소요파의 개조이다. 묘향산으로 휴정을 찾아가 조사서래의 화두를 물었다. 문답한 뒤, 휴정은 의발을 전하고 3년 동안 지도한 뒤, 개당설법을 하게 하였다. 그 뒤 휴정에게 다시 탁마한
태산소초 / 太山小草 [언론·출판]
저자 김소(1789-1870).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62장이다. 이 책은 일반 간행 문집의 범례처럼 문체별로 편집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순서대로 엮어 놓았다. 1814년(순조 14) 26세 때의 편지를 시작으로 1852년(철종 3) 64세까지의 작품을 모은 것
태상감응편도설 / 太上感應篇圖說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도가류(道家類) 주작정(朱作鼎) 편, 최성환(崔瑆煥) 언해, 목판본, 1852년(철종 3), 5권 5책. 표제와 판심제는 감응편(感應篇)이다. 구성은 서, 태상감응편, 도설목록, 권1-5, 부록: 속법찬요(2장), 영험기(4장)이다. 선악의 업보를 실증
태상감응편도설언해 / 太上感應篇圖說諺解 [언어/언어/문자]
1852년(철종 3)에 중국의 도교경전 『태상감응편도설』을 한글로 번역한 책. 1655년에 명나라 허남증(許纜曾)이 편찬한 7책의 『태상감응편도설』을 최성환(崔瑆煥)이 1848년(헌종 14)에 다시 편집하여 한문본 『태상감응편도설』을 간행하고, 1852년에 다시 만(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