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민족통일체육연구원 / 民族統一體育硏究院 [예술·체육/체육]
한민족 통일 기반조성을 위해 남북체육을 연구하는 학술단체. 남북한 체육교류협력과 관련한 비영리 학술단체로서 북한 체육에 관한 연구 및 정책 개발, 국내외 연구기관·단체 등과의 공동연구 및 연구용역 수탁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북한 체육 관련 정보·자료의 종합관리 및
민족혁명당 / 民族革命黨 [역사/근대사]
1935년 중국 난징(南京)에서 조직된 독립운동정당. 민족혁명당은 1937년 12월 조선민족해방자동맹·조선혁명자연맹 등을 규합하여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하였으며, 1938년 10월 10일 그 산하 군사조직으로 조선의용대를 조직해 중국 각지에서 활발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
민종묵 / 閔種默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35∼1916). 구한말 문신. 조사시찰단 일원. 외부대신 역임. 1897년 외부대신으로 절영도를 태평양함대에 조차시키려다 독립협회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며, 만민공동회를 무력으로 해체시키기 위하여 미국·영국 공사에게 통고하였으나 회원들의 강력한 반대
민종식 / 閔宗植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의병장(1861∼1917). 1905년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정산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각처의 의병들로 조직된 연합의병의 대장으로 추대됐다. 충청남도 서부 일대를 점령한 뒤, 홍주를 공략해 점거했다. 이에 일제는 토벌군을 보내 대혈전이 전개됐으나
민주개혁 / 民主改革 [정치·법제/정치]
해방 직후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가 추진한 일련의 개혁조치. 임시인민위원회는 1946년 3월 23일 <20개 정강>을 발표하고 이에 의거, 민주개혁을 실시했다. 토지개혁법령, 노동자 및 사무원에 대한 노동법령, 농업현물세에 관한 결정서,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 중요산
민주공화당 / 民主共和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2월 26일 창당. 제3, 4공화국의 집권여당. 5.16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혁명이념의 계승과 민족적 민주주의 구현>을 표방하였다. 8월 31일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입당하여 총재직을 맡았으며, 이후 권위주의적 지도체제하에 계파갈등을 억누르고, 조
민주국민당 / 民主國民黨 [정치·법제/정치]
1949년 2월 10일 창당된 정당. 한국민주당이 친일정당이라는 이미지의 쇄신과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신익희의 대한국민당과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규합, 새로이 출범한 것이다. 한국민주당의 구성원, 정강, 정책 등을 그대로 계승한 민국당은 해방 이후 최초의 보수야
민주기지노선 / 民主基地路線 [정치·법제/정치]
해방직후 북한 공산주의자들이 취한 혁명 노선. <한반도를 미소 양군이 분할점령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제국주의 국가인 미국이 점령한 남한에 혁명근거지를 두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북한을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강화시켜 조선혁명의 근거지로 만든다>는 노선으로서 건당, 건국,
민주노조운동 / 民主勞組運動 [역사/현대사]
1970년대 전반기에 발생, 후반기에 크게 성장한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민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 이 시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민주노조로는 청계피복, 동일방직, 삼원산업, 반도상사, 한국모방, YH무역노조 등을 꼽을 수 있다. 민주노조운동의 특징으로는 종교운동 혹은 지
민주주의민족전선 / 民主主義民族戰線 [정치·법제/정치]
1946년 2월 15일 조직된 좌익통일전선.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반도 신탁통치안이 결정되자, 각 정당, 사회단체들은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싸고 찬탁과 반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조선공산당이 이승만과 미군정의 단독정부수립 노선에 대응, <신전술>을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