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취유부벽정기 / 醉遊浮碧亭記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 金鰲新話』에 실려 있다.「취유부벽정기」는 기자조선의 도읍지로 알려진 평양을 배경으로 하여 한 남자 상인과 죽어서 선녀가 된 기자(箕子)의 딸

  • 취은일고 / 醉隱逸稿 [종교·철학/유학]

    송덕부의 문집. 목판본, 2권 1책. 권상에는 60여 수의 시를 비롯하여 2편의 제문을 비롯하여 모두 7편의 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하는 부록으로 이재관이 지은 저자의 행장을 비롯하여 정종로가 지은 저자의 묘지명이 수록, 강용량 등 40여 명이 지은 만사와 강용량 등

  • 취재 / 取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하급 관리를 채용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취재에는 수령·외교관·역승·도승·서제·음자제·녹사·도류·서리를 선발하는 이조취재와 의학·한학·몽학·왜학·여진학·천문학·지리학·명과학·율학·산학을 전공한 기술관 및 화원·도류·악생·악공을 선발하는 예조취재가 있었다.

  • 취취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낙질본. 본래는 2책 이상의 분량일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제1권의 1책만이 남아 있다. 표지에는 ‘ᄎᆔᄎᆔ전’이라는 제목과 함께 “경ᄌᆞ 삼월 십일일 ᄀᆡ졔”의 기록이 있다. 그리고 작품의 말미의 “니몽우전 권지니 각셜 하회를

  • 측우기 / 測雨器 [과학/과학기술]

    세종대(재위 1418~1450)에 발명되어 사용한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우량 측정 기구. 1440년을 전후하여 발명되어 1442년(세종 24)부터 20세기 초 일제의 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조선 왕조의 공식적인 우량 관측기구로 사용된 도구로, 현대

  • 치사가 / 致仕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모두 3수. 1569년(선조 2) 작자가 77세 때 우참찬벼슬을 그만두고 담양으로 내려갈 때의 심정을 곡진하게 노래하였다. 작자의 문집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에 한역으로 수록되어 있다. 첫째수는 각종 가집(歌集)에 작자

  • 치산가 / 治産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 지은 연대는 미상이나 70세 이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단가란 광대가 본격적인 소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목을 풀어보느라고 간단히 부르는 소리를 이르는 말로 작가는 이 작품에서 치산의 길을 퍽 소박한 수법이면서도 실천적이

  • 치산서원 / 鵄山書院 [교육/교육]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에 있는 서원. 서원의 기원은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朴堤上)의 처를 제사지내기 위해 신라시대 경주 묵장산(墨匠山)의 치술령(鵄述嶺)이라는 고개에 세워졌던 ‘신모사(神母祠)’에서 출발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745년(영조 21)에 영해박

  • 치생요람 / 治生要覽 [경제·산업/산업]

    조선 중기 강와(强窩)가 지은 식품과 농사에 관한 책. 필사본. 상하 2권 1책. 상권에는 각종 음식을 비롯하여 소곡주(小麯酒) 등 15종의 술과 솔잎·느릅나무 껍질 등 18종의 구황식품(救荒食品), 식초, 각종 장(醬) 종류 등의 가공 및 이용법을 풀이하고 있다. 또

  • 치암집 / 稚巖集 [종교·철학/유학]

    정유지의 문집. 석판본. 발 : 정이관‧정승모, 3권 1책. 간행년도 미상. 권1에서는 15수의 시와 83수의 만사, 그리고 도연명을 기린 의고체의 시간 한 수 있다. 권2에는 「여병산회중」 등 세 건의 서가 있다. 권3은 부록으로 만사가 실려 있고, 김도 등 3인의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