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민정논보 / 民政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고을 수령이 미상인에게 올린 민정 논보. ①본읍의 대동포를 3년 동안 대납하게 해 준 조정의 처분에 대해 감사하다는 뜻, ②대동포 상납상의 폐단에 관한 신임 사도의 질문에 대해 삼의 작황에 따른 융통성 있는 수납 방법을 건의한 일, ③관호에 관한 문제 등 이외에
민정당 / 民政黨 [정치·법제/정치]
1963년 5월 14일 출범한 보수야당. 5.16 이후의 정치규제조치가 풀리면서 1963년 1월 27일 창당발기인대회를 거쳐 출범하게 되었다. 자유민주주의와 평화적 정권교체 실현을 기본노선으로 삼고, 대표최고위원에 김병로, 대통령후보에 윤보선을 선출했다. 1964년 1
민정중 / 閔鼎重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92(숙종 18). 조선 후기의 문신. 여준 증손, 할아버지는 경주부윤 기, 아버지는 강원도관찰사 광훈, 어머니는 판서 이광정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49년(인조 27)에 정시 문과에 장원해 성균관전적으로 벼슬에 나가, 예조좌랑, 동
민조 / 民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호구·공부·전량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하나인 상서호부를 판도사(版圖司)로 다시 1298년에 충선왕이 민조로 고쳤다. 관원으로 상서(尙書) 1인, 시랑·낭중·원외랑은 각기 3인. 시랑 중 1인은 타관
민족독립운동 / 民族獨立運動 [역사/근대사]
개항을 전후부터 광복 때까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한 일체 운동의 총칭. 이 운동은 민족주의와 관련이 있다. 한국 민족주의는 일제의 단계적 침략에 대한 각종 배일운동과 의병항쟁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민족주의는 의병항쟁과 애국계몽운동 등의 방향과 이념이 정립되면서 성장해
민족명 / 民族名 [사회/사회구조]
재일 한인의 호적에 기재되어 있는 한국풍의 성명. 해마다 재일한인 중에서 일본 국적을 취득하는 사람들이 꾸준하게 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경에 그들 일본국적 취득자 중에서 자신의 뿌리를 당당하게 드러내며 ‘한국계 일본인’으로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그 대
민족유일당운동 / 民族唯一黨運動 [역사/근대사]
1920년대 후반 만주와 중국 지역에 분립되어 있던 독립운동 단체들이 하나로 통합되기 위해 전개한 운동.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단체들은 일제의 세력이 강한 북간도를 제외한 전체 만주의 교포 사회를 3분하여 통치한 사실상의 정부였다. 이후 3부를 포함, 좌우익의 민족
민족주의 / 民族主義 [정치·법제/정치]
민족국가를 형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투쟁과정에서의 의식과 운동. 민족주의는 그 속에 이념과 운동을 동시에 포용하고 있다. 민족이념으로서는 단일적인 민족구성원이 독립적인 민족국가를 형성하여 민족정치·민족경제·민족문화를 전개하려는 욕구를 그 본질적인 성격으로 삼고 있다.
민족주의사학 / 民族主義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정면으로 대결하였던 민족진영의 역사학을 지칭하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박은식(朴殷植)ㆍ신채호(申采浩) 등과 1930년대 이후의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 모
민족춤제전 / 民族춤祭典 [예술·체육/무용]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민족춤위원회가 매해 3월 말부터 6월 사이 서울에서 주최한 ‘열린사회를 위한 춤 운동’ 예술축제.무용제. 1994년 제1회 행사는 ‘진보·개방’이라는 주제 아래 12개 무용단이 문예회관대극장(현 아르코예술극장)과 마로니에 공원 야외무대에서 공연을 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