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충량과 / 忠良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영조 때 실시한 특수 과거. 1764년(영조 40) 처음으로 시행된 정시의 일종.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항거하다가 순절한 이들의 충절을 기리고 아울러 그 후손들을 위로할 목적으로 처음 실시하였다. 응시자는 삼학사·김상용·김상헌 등의 후손들이었지만, 임진왜란 이후
충렬소오의 / 忠烈小五義 [문학/고전산문]
청나라의 소설 『소오의(小五義)』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필사자 미상. 『충렬협의전(忠烈俠義傳)』의 속서(續書)로 1890년(광서 16) 청나라에서 간행된 『소오의(小五義)』(124회)를 번역한 책이다. 『충렬소오의』의 내용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 40회는
충렬실록 / 忠烈實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정덕선(鄭德善) 등편, 목판본, 미상, 1책(영본), 전2권 2책. 진주창렬사(晋州彰烈祠)에 모셔진 인물 등 임진왜란 당시의 실기 등을 모아 엮은 책이다.
충신단 / 忠臣壇 [예술·체육/건축]
제단. 강원도 영월에 소재한 단종(端宗)의 무덤인 장릉(莊陵) 아래에, 단종에게 충절을 한 여러 신하들을 배향하기 위해 설치한 단이다.
충의교위 / 忠毅校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의 정5품 하계의 품계명.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무산계가 제정될 때 정5품 상계는 충의교위, 하계는 현의교위로 정하였다. 그런데 ≪경국대전≫에서는 무산계 상계의 충의교위는 과의교위로, 하계의 현의교위는 충의교위로 개칭되어 ≪경국
충주 / 忠州 [지리/자연지리]
지명. 신라 때 중원경(中原京)으로 고려 태조 23년에 충주(忠州)로 개칭. 고려 성종조에 12목(牧)의 하나로 되고, 현종조에 8목(牧) 중의 하나로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주목(州牧)으로 답습된 것이다. 별호를 대원(大原)이라고 하였다.
충주구황절요 / 忠州救荒切要 [경제·산업/산업]
1541년(중종 36) 10월 안위(安瑋)·홍윤창(洪胤昌) 등이 지은 구황서(救荒書). 1권. 사본 이 책은 서문·목차·발문 등이 없는 일종의 절목(節目)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27개항이 30면에 필사되어 있다. 이 책은 광복 이후 일본에서 반환문화재(返還文化財)로
충주석 / 忠州石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오언과 칠언의 잡언체(雜言體)로 모두 24구이며 『석주집(石洲集)』 권2에 수록되어 전한다. 「충주석」 제 1∼5구에서는 우선 충주석을 빗돌로 다듬어 실어나르는 상황을 묘사하였다., 제 6구에서 세태에 아부하는 문장가들을 비판하였
충주팔봉서원 / 忠州八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팔봉안길(문주리)에 있는 서원. 1582년(선조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자(李耔)·이경연(李慶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1612년(광해군 4) 김세필(金世弼)·노수신(盧守愼)을 추가 배향하였다. 1672년(
충주향교 / 忠州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9년(인조 7)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97년 중수하였고, 1936년 군수 김석영(金錫永)